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전지용 실리콘 잉곳의 슬라이싱에서 발생하는 Si분말의 불순물 분리기술

전문가 제언

태양에너지 이용은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 한정된 자원의 화석연료 의존성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 개발의 중요한 방향이 되고 있다. 오늘날 태양전지의 90% 이상이 다결정이나 단결정 실리콘을 사용하고 있다. 태양전지 기판은 잉곳 제조 및 슬라이싱(slicing)을 통해 제조된다. 기판 두께는 140-220μm이며 와이어형 절단기(multi-wire sawing)로 잉곳을 수많은 얇은 기판으로 슬라이싱 하는 과정에서 약 40% 전후의 Si분말 손실(kerp loss)이 불가피하다.

 

태양전지산업 발전과 더불어 태양전지급 실리콘(SoG-Si, Solar Grade Silicon)의 원가 부담이 심각해지고 있어 폴리실리콘 원료 소모량과 Si분말 손실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와이어형 절단 후 발생하는 슬러리에는 약 30wt%Si, 30wt%SiC가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는 PEG(polyethylene glycol)와 물이며 약 5wt%FeB, P 같은 불순물이 존재한다. 슬러리 속에 존재하는 Si 순도는 6N급이기 때문에 이의 효과적인 재생은 중요하다. 특히 B, P는 캐리어(carrier) 이동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거해야 할 불순물이다.

 

이 자료에서는 Si-rich 분말에 존재하는 Fe, B, P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산 전처리기술과 분리기술을 소개하였다. 분산 전처리 방법으로 초음파처리와 pH 조절 알칼리처리 하는 기술을 사용하였고 자력선별을 통하여 초기 5.68%Fe0.48%로 감소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붕소(B)와 인(P) 불순물의 경우는 염산과 불산 혼합용액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산 침출(microwave acid leaching)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소개하였다.

 

국내 태양광산업의 소재 관련업체는 OCI, KCC와 같은 폴리실리콘 제조업체와 잉곳과 웨이퍼 관련업체로는 넥셀론, SKC솔믹스, 티씨케이, KCC, 오성엘에스티 등이 활동하고 있다. 태양광산업에서 폴리실리콘 가격은 절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원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와이어형 절단에서 나오는 순도 높은 Si-rich 분말을 재사용하는 기술개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자
Suning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299()
잡지명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6~281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