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소용 음식물쓰레기와 유우분의 혐기성 혼합소화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업소용 음식쓰레기 혐기성 혼합소화처리는 업소용 음식쓰레기 매립처리에 대체방안으로서 가장 유력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11종의 업소용 음식쓰레기와 12종 기질의 혼합소화 방법을 특성화하여 생화학적 메탄 잠재력(BMP) 분석에 근거하여 바이오메탄 잠재력, 생물 분해성 및 겉보기 가수분해 반응상수 등에 관하여 발표하였다.
○ 음식쓰레기 바이오메탄 잠재력은 165- 496mLCH₄/gVS이며, 기질은 용이한 상태의 높은 지방성분이고, 분해가 가능한 탄수화물로서 메탄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혼합소화 기질에서 평균 바이오메탄 잠재력은 휘발성고형물 함량의 개별기질 바이오메탄 잠재력에 -5% - +20% 수준에 놓여 있었다.
○ 겉보기 가수분해 반응상수는 0.19 - 0.64d?¹ 범위이고, 혼합소화 기질은 평균중량 개별기질 속도에서 가속화 겉보기 가수분해 반응상수를 나타냈다, 본 연구 성과는 혐기성소화에 업소용 음식쓰레기 이용 및 선진 화 모델링에 주요 바이오 소화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 제공에 있었다.
○ 우리나라는 축분과 음식폐기물 혼합소화 실험(박 상순: 안양대 석사학위논문)에서 생분해성과 소화액 성상 평가에서 바이오메탄잠재력은 365 mLCH₄/gVS(누적 메탄수율 2gVS/L)를 나타냈고, 2. 2- 4.4gVS/L 사이에서 휘발성 지방산 농도 감소는 유기물의 바이오가스 전환이라고 발표 한바 있었다.
○ 한국은 21세기 자원순환사회에서 음식쓰레기와 가축분뇨를 혐기성 혼합 소화 처리하여서 발생된 바이오가스와 소화액을 지역자치 단체에 여건에 합당하게 순환 활용하는 정책 수행 실천이 속히 필요하다.
○ 바이오매스 폐기물 혐기성 혼합 소화처리하여 발생된 바이오가스의 열병합발전과 수송연료화 및 소화액의 탈수처리, 열분해가스화, 미생물연료전지, 수경재배, 조류생산, 퇴비화 스투르바이트(struvite) 비료 생산 등의 구체적인 지역사업 개발계획 수립이 대단히 중요하다.
- 저자
- Jacqueline H. Ebne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52()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6~294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