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섬유증(hepatic fibrosis) 치료를 위한 이머징 치료제의 개발현황
- 전문가 제언
-
○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년 간 약 백오십만 명이 간섬유증으로 인하여 발병되는 간경화와 간암으로 사망하고 있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간섬유증은 사람의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심각한 질환의 하나이다. 섬유증은 상해에 대한 생리적 반응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정상적인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각한 상해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기능을 가진 세포로의 회복은 거의 불가능 해진다. 간섬유화는 반복되는 간 손상의 상처가 가장 핵심 원인이며, 간섬유증은 상처가 회복됨으로써 생기는 일종의 상흔이다.
○ 섬유증이 진행됨에 따라서 섬유의 경화증상이 일어나며, 간섬유증은 간 부전 (liver failure) 및 문맥 고혈압 (portal hypertension)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간세포성 암종(HCC; hepatocellular carcinoma)으로 발전될 위험성도 높다. 간섬유증과 간경변은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담낭질환과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경화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질환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제거하는 치료방법이 가장 합리적인 간경화증의 치료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간섬유증에 대한 표준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섬유화의분자학적 반응기작과 섬유화 과정의 반응경로에 관한 연구 자료들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간뿐 아니라 다른 기관의 섬유증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약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 치료약물의 표적은 섬유증 유발로 인하여 조절기능이 상실된 신호전달시스템과 반응인자들의 조절기능 복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치료약물들이 여러 제약사에 의해 개발되어 임상시험 단계에 있다.
○ 우리나라 남자 장년층의 간경화증 사망률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간질환 관련 사회적 비용도 약 2조원/년 이상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치료제 개발수준은 국내의 경우 기초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는 반면,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새로운 치료약물이 이미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선진국 수준을 따라잡기 위한 꾸준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Paolo Fagone, Katia Mangano, Antonio Pesce, Teresa Rosanna Portale, Stefano Puleo, Ferdinando Nicolet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21(2)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69~375
- 분석자
- 정*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