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자교환막 연료전지용 310S 스테인리스 스틸 바이폴러 플레이트 전류밀도 안정성

전문가 제언

본 보고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316L 스테인리스 스틸 대신에 310S를 양자교환막 연료전지 바이폴러 플레이트로 사용하는 것이 내구성 등 측면 등에서 유리함을 내부식성과 부동택막 형성을 I-V특성시험, X선 광전자 분광기, X선 형광 분석기 등을 활용하여 밝혀냈다.

 

H. Yasuhiro교수를 지도교수로 하는 본 연구팀은 2007년이래 10년간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본 보고서가 밝히는 연구 성과를 이룩해 냈다.

 

연료전지자동차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소연료사용 양자교환막(고체고분자) 연료전지용 바이폴러플레이트로는 기계가공 그래파이트 플레이트, 몰드 그래파이트나 카본 플레이트 그리고 최근에는 스템핑(stamping)금속플레이트가 경제성과 가공성 등의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대자동차에 이어 Toyota도 연료전지자동차 “Mirai”의 미국내 판매를 개시했다. 일본의 Honda, 미국의 GMFord 그리고 유럽의 BMWDaimler도 곧 시판을 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금촉매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차의 보급에는 한계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이는 백금-니켈, 백금-코발트 2원합금 등 3차원 나노프레임 촉매기술이 이를 극복할 수 있고. 3-D프린팅기술을 적용한 금속바이폴러 플레이트 등의 도입으로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가격을 크게 저감시켜줄 것으로 기대를 모우기도 하나 현대, Toyota, Honda, GM, Ford, BMW Daimler 등의 실용화 연료전지차는 모두 스템핑 금속 바이폴러 플레이트를 채용하고 있다.

 

세종대학의 명성택 교수팀이 스테인리스스틸 바이폴라플레이트의 내식성에 전류밀도가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316L 바이폴러 플레이트 관련연구로는 KAIST의 위당문교수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김민철 박사팀, 한국타이어 연구본부의 김정헌 박사님이 활발하다.

저자
M. Kumaga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211()
잡지명
Electrochimica Act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54~760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