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도료 조성물, 용도, 코팅 방법 및 기재
- 전문가 제언
-
○ 친환경 도료인 수성 페인트는 시공이 편리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건축, 자동차, 가구용 도료로써 목재, 플라스틱, 금속, 종이나 직물 소재들의 표면을 도장하는 용도가 확장되고 있다.
○ 이 발명은 대기조건에서 스프레이 도장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직물과 유사한 시각 및 촉각 효과를 띠는 데 적합한 수성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는 종래의 직물 및/또는 천-유형의 질감을 갖는 도료들이 용제 형이어서 환경뿐 아니라 건강과 안전성에 제한을 갖는 단점을 지적하고 있다.
○ 따라서 이 발명은 수성 페인트 조성물로 바인더인 유화 제1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코올)과 비닐알코올의 반복단위를 갖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된 제2 중합체로 이루어져 스프레이 도장으로 직물과 유사한 시각 및 촉각 효과가 발현되도록 설계한 것으로 제2 중합체의 존재로 무화(atomization) 방지 즉 스프레이 도포 시 작은 액체방울의 형성을 방지하고 중합체섬유(바인더 및/또는 제2중합체)가 생성되게 한 것이다.
○ 수성 페인트는 에멀션의 종류에 따라 아크릴계 에멀션, 스티렌-에틸렌 계 에멀션 및 비닐계 에멀션 등으로 구분되며 이 발명의 유화바인더는 필름 형성 중합체로 불포화 비닐, 아크릴산염 및/또는 메타크릴산염 단량체 등의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라텍스, 유화 알키드, 유화 폴리우레탄 및 유화 에폭시들로부터 선정된다.
○ 주거환경의 60%가 아파트로 되어 있는 국내의 경우, 그간 내장 및 외장 도장재료로 수성페인트를 사용하여 왔고, VOC에 대한 환경규제 및 대기환경보전법의 강화로 수성 페인트를 이용한 마감시공이 대세를 이루었으며, KCC, 노루페인트, 건설화학, 삼화페인트, 조광페인트 등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친환경 수성 페인트를 시판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나 금후 도료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 및 차별화를 위해서는 참고하고 연구할 만한 발명이다.
- 저자
-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02449
- 잡지명
- The water borne coating composition, use of such composition, method for coating a substrate using such composition and coated substra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1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