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시블하고 투명한 PEDOT:PSS/Au/PEDOT:PSS 다층 전극
- 전문가 제언
-
○ 유연성이 부족한 ITO필름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최근에는 산화금속 필름/금속/산화금속 필름의 구조에서 산화금속을 전도성 고분자나 전도성 나노탄소재료로 전환하는 연구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보다 실용적인 재료를 찾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다.
○ 그래핀과 금속의 조합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많이 눈에 띄는 가운데 PEDOT:PSS와 금속의 조합도 플렉시블하면서 투명성이 요구되는 차세대 전극의 후보재료로 유망 시 되고 있다. 본 분석물에서는 PEDOT:PSS의 전극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고분자의 필름사이에 금의 얇은 필름을 도입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금 필름의 두께가 이 다층필름의 최종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 결과적으로 전극특성과 광투명성의 관점에서 최적점이 도출되어 이 다층필름이 차세대 광전기기의 전극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물론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제조방법에서부터 기기응용까지 보다 구체적인 적용기술과 장기적인 특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PEDOT:PSS/금/PEDOT:PSS 다층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장점은 구성재료들의 신뢰성이 이미 확보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핀을 기반으로 하는 재료들은 그래핀 합성의 재현성문제로 실질적인 응용의 시기가 아직도 불투명하지만 PEDOT:PSS는 그렇지 않다.
○ 국내에서도 금속, 특히 은 나노선과 그래핀을 응용하는 플렉시블 투명전극에 대한 연구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PEDOT:PSS/금/PEDOT :PSS 다층 시스템은 찾아볼 수 없다. PEDOT:PSS는 연관 과학기술자들에게는 익숙한 물질이다. 따라서 국내 연구수준으로 미루어 이를 이용하는 다층시스템은 생소한 것이 아니다.
○ 다시 말하면 연구개발의 동기만 부여된다면 국내 연구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야라는 것이다. 그래핀 보다 보다 현실적일 수 있는 이 시스템에 대한 국내 연구진들의 관심을 촉구한다.
- 저자
- Mariya Aleksandrov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74()
- 잡지명
- Materials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04~208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