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내 지방산화가 나이 들수록 감소해 지방축적, 인슐린저항, 과체중을 유발
- 전문가 제언
-
○ 운동을 열심히 하는 마른 노인들의 IMCL량과 인슐린 민감도는 젊고 마른 사람들의 IMCL량과 인슐린 민감도가 비슷하다. 따라서 나이 들어 감 자체가 인슐린 저항을 일으키지 않는다. 오히려 생활양식요인들이 인슐린 저항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요소들과 골격근의 인슐린 민감도 감소를 연결하는 고리는 SSL, IMCL, 지방대사체(예, DAG, 세라마이드)이다
○ 관찰, 조사해서 나타난 노인들에서 IMCL증가, 인슐린 민감도 감소, 미토콘드리아 기능 감소, 지방산화 감소는 나이 들어가면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잘못된 생활양식에서 온 것이다. 나이 들어가면서 운동하면 전신교감신경 반응이 증가하고 지방조직분해를 약화시키고 있다. 지방산 운반이 크게 늘면서 비활동적인 노인들에서는 SSL, IMCL에 지방을 쌓이게 한다. 근육에 지방전달을 감소시키고 근육 내 지방축적을 감소시키고, 지방조직분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은 운동을 해야 함이다.
○ 젊은이들이 바만하면 지방들이 근육세포안에 축적되는 것보다 근육조직 사이에 축적된다. 그러나 나이 들어가면서 비만해지면 즉 나잇살이 생기면 주로 근육세포 안에 지방이 축적되고 있다. 근육조직아래에 축적된 지방(SSL)은 운동하면 쉽게 산화하여 에너지생산에 쓰여서 운동으로 지방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나이 들어 생긴 근육세포 안 지방은 산화하여 지방 량을 없애기가 매우 어렵다.
○ 따라서 나이 들수록 운동을 자주하여 비만하지 않도록 해야 당뇨병, 비만을 예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처럼 나이 들어가면서 비만해지는 방법이 다르고 지방축적 되는 위치가 매우 다름으로 인해 지방산화(제거)가 어려워짐을 처음 밝혔다. 노인건강방법도 더 연구해야한다. 노인들의 지방을 감소, 제거하는 치료제는 미래 신약이 된다. 이 부분을 연구하는 국내기관이 없어 아쉽다.
- 저자
- Carolyn Chee, Chris E. Shannon, Aisling Burn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65()
- 잡지명
- Diabe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40~850
- 분석자
- 윤*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