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적층 제조를 위한 주석과 제품 정의

전문가 제언

AM(additive manufacturing: 적층제조)는 날로 더 생산가능 기술로 인식되고 있어서 데이터와 정보요구는 증가가 분명한 AM 복잡성에 대한 경비를 치르게 한다. 최근 GD&T(geometric diemsioning and tole- rance: 기하 치수와 공차) 실습에서 가능한 기술은 AM의 제품정의(product definition) 요구를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충분히 모델화된 프로세스가 AM 부품의 재생산성을 쉽게 해야 하는 새로운 복잡성을 소개한다. 기계가독(machine-readability) 요구는 인간의 해석요구를 능가해야한다. AM의 제품정의 요구사항에 만족하는 GD&T와 의미론적 주석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보인다..  

 

MBE(model based engineering: 모델기반 엔지니어링)가 개발을 계속할 때 현재의 GD&T 실행은 보조를 맞출 수 있다. 생산대안에 의하여 요구되는 재 생산성을 얻기 위하여 전례 없는 대량 디자인 정보는 AM 제품을 위하여 소통을 해야 한다. 이 요구를 효과적으로 만족하기 위하여 AM은 우리가 최근에 GD&T가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하고 PMI(product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제품 제조 정보)와 의미론적 콘텐츠의 근본적인 원칙을 수용할 것을 요구한다. 이 생각은 제조의 조망을 변화하게 할 것이 틀림없다.

 

AM 기술은 30여년의 역사를 갖은 것으로 CAD 기술 표현기법으로 발전하여 와서 아직도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다. 이 문헌은 AM을 통환 주석을 설명(그래픽 주석)과 표현(의미론 주석)으로 설명하고 제품정의를 GD&T에서 PMI 까지, 부호에서 의미론까지 그리고 다음 단계로 자세히 설명하여 AM 주석의 기본 특성과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AM 기술 분야에서 이 연구와 같은 주석과 제품정의에 관한 연구는 없다 하겠다. AM을 통한 제품을 보다 정교하게 그리고 제조의도 데로 생산하려면 이 문헌과 같은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특히 이 연구가 미국의 표준기구 NIS를 중심으로 진행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자
Paul Witherell,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43()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39~344
분석자
김*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