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공용 CAM시스템의 고기능화
- 전문가 제언
-
○ 유저니즈에 따른 제품개발기간의 단축, 저 코스트 화, 고품질의 요구는 멈출 줄 모르고, 그들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을 만들기 위한 기계가공이나 금형가공에 있어서도 같은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적확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계가공분야에 있어서 컴퓨터 화는 피해 갈 수 없는 상황이며, 특히 CAD, CAM등의 IT 툴을 활용한 디지털제어에 의한 제품 만들기가 보급되어 가공의 데이터화가 키 워드로 되었으며, CAM은 새로운 부가가치제품의 창조 등에서는 제품 만들기에 빼놓을 수 없는 툴이다.
○ 기계가공과 직결하는 가공능률의 향상, 형상정밀도?가공정밀도의 향상, 가공품질 안정 등 기계가공의 고도화,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하는 최신의 CAM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실용화에 대한 보고서가 기계가공용 CAM시스템의 더욱 고기능화를 향하여로, 이 보고서에는 고속?고정밀도가공의 실현과 제어 파라미터의 동정 법, NC프로그램의 생성 법, 가공시간 예측, 가공에서 발생하는 거스러미의 예측 등을 소개하고 있다.
○ NC공작기계용 CAM에 관련한 국외 기술동향은 유럽과 미국, 일본 등의 산업선진국들이 기술개발을 선점, 예로 일본의 Vero Software 그룹의 Vero Japan(주)이 발표한 보다 조작 성 향상기능을 확충한 VISI2016R1, Edgecam 2015 R2의 복합가공기의 유효활용 CAM과, 창부기계(倉敷機械)(주)의 MYPAC CAD/CAM시스템 Ver13.5 CAM기능의 특징 등이 있다.
○ 국내 기술동향은 한국 기술표준원이 스위스 취리히에서 개최된 물리장치제어 국제표준화회의(ISO/TC184/SC1)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선반공정 데이터표준 등 2건이 국제표준으로 채택, 채택된 STEP-NC데이터모델은 공작기계와 수치제어장치간의 양방향정보교환이 기능, 기존의 NC공작기계에 비하여 50%이상의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CAM에 관련한 기술개발은 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기업으로 옮겨 가 개발추진이 미미해 CAM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 저자
- Hideki AOYA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64(5)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3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