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난용성 Mg합금이나 내열 Mg합금의 개발

전문가 제언

지구온난화에 영향이 있는 CO2가스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동차 엔진 효율향상, 자동차경량화 등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자동차경량화 금속재료 중에도 가장 가벼운 Mg은 비중이 Al의 2/3, Fe의 1/4 정도로 가벼워서 자동차 엔진 부품 등으로 개발하고 있다. Mg은 비강도, 비강성이 높은 특징이 있으나 고온산화성이 강하고 용해 시에 발화하는 약점이 있다. 본고는 이 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연성, 내열성Mg합금의 개발과 응용에 대한 중요한 기술이 소개되었다.

Mg합금을 용해할 경우 발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산화및 발화 대책이 필요하다. Mg합금용탕에 Be을 10ppm 정도 첨가하므로써, 치밀한 BeO피막이 용탕표면에 형성 되어 산소를 차단함으로 Mg산화를 억제한다. 또는 S를 산포하는 방법도 있으나 CaF2나 MgF2에 S를 혼합해서 첨가하는 방법도 있고, SF6 건조공기 중에 0.2%희석하거나 N2나 CO2가스에 SF6 0.05%정도 희석하여 용탕 보호가스로 사용하기도 한다.

MR1153합금은 Oil Pan, AEX631합금이나 AE62Ca합금은 Case, Transmission, AE62Ca합금은 Clutch Case, AE44합금은 Engine Cradle, AJ62X합금은 Cylinder Block 등을 제조하는데 제조방법은 이들 부품Mg합금 용탕을 콜드챔버식 다이캐스팅 장치에 가압식 급탕하여 주조한다.

USCAR자동차경량화 프로젝트에서 Eng. Cradle를 Mg합금으로 제조한 결과 35%의 경량화를 실현하였고 BMW Co.는 AJ62Mg합금을 이용하여 6기통 Al/Mg복합 실린더를 개발하여 Al합금엔진에 비하여 25% 경량화 하였다고 보고된 특징을 보아 내연성, 내열성 Mg합금으로 자동차 각 부품 제조가 활성화되어 자동차경량화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에 재료과학연구소(KIMS)의 유봉선씨가 Mg합금에 Ca을 첨가하여 산화특성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고, 2005년에 산업기술연구소(KITECH) 김씨 등이 Mg합금에CaO를 첨가하여 발화특성을 연구하였으나 실제 제품에 응용된 실적은 안 보인다. 산업체와 연구소 학계가 협력하여 실용화 개발하기를 제언한다.

저자
Hisashi OHA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6(5)
잡지명
輕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33~239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