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산화공정에 의한 산업과 모의 섬유폐수처리간의 비교: 생분해성, 독성과 비용평가
- 전문가 제언
-
○ 섬유폐수는 엄청난 양의 물을 소비하는 섬유산업으로부터 다량으로 배출되고 염료 등 여러 가지 독성 유기화학물질 및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효과적인 처리방법으로 고도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 : AOP)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섬유폐수의 처리를 위한 고도산화공정의 적용을 분석하고 고도산화공정에 의한 산업(실제)과 모의(합성)섬유폐수처리를 비교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산업폐수의 경우 COD 및 총유기탄소감소가 고도산화공정의 적용이 더 많은 산화부산물을 생성시켰으며 반응성염료흑색5가 높은 독성이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검사된 모든 오존기반고도산화공정은 생분해성을 증가시키고 독성을 감소시켜 산화는 생물학적 처리전에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오존과 오존/과산화수소이용공정이 산업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이 강조된다.
○ 오늘날 폐수의 고도처리기술의 개발과 경제성의 향상이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되고 있다. 고도산화공정은 오존과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력이 강한 물질을 투입하여 강력한 산화제인 수산화라디칼을 생성시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하여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서 섬유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 및 유해화학물질과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매우 유망한 기술적 대안이 되고 있으며, 섬유폐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고 그 산업적 활용도가 매우 커지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세계 수준의 폐수처리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현재 섬유폐수처리를 위해 물리적, 화학적,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과 같은 기존의 기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기술면과 경제성에서 선진국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AOP가 제시되고 있으나 고비용으로 경제성이 떨어져 활발히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 AOP활용기술개발의 촉진과 이를 위한 정부의 정책지원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Lucyna Bilinsk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306()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50~559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