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의 혐기성 바이오정유공장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 농촌지역 취사용 연탄 대체를 위해 축산폐기물을 혐기소화 하는 메탄가스 발생장치를 개발 보급하였다. 그 후 1990년대에는 급진적인 산업화로 이의 메탄가스화 기술은 대규모 혐기성 발효장치를 설계 및 건설 운전하면서 상업화가 이루어졌다. 지금은 세계적인 기술수준에 도달하여 플랜트 수출을 하고 있다.

  

  ○ 바이오가스는 CO2 및 CH4의 혼합물로서 유기물질이 혐기성 조건하에서 미생물 변환에 의해 생산된다. 이는 혐기조건에서 메탄생성 박태리어로부터 유기물질의 분해프로세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하나의 재생에너지이다. 바이오가스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점이 있으면서 열량은 디젤오일의 절반인 6kWh/㎥을 갖는다. 

  

  ○ 바이오메스 자원으로부터 유도되는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에너지는 석유대체를 할 수 있으면서 환경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어 바이오에너지 생산 및 사용 잠재력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를 유도하는 다양한 프로세스와 이의 총체적인 이익은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검토함으로서 얻게 된다.


  ○ 이 글에서는 혐기성 바이오정제공정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혐기성소화에서 얻어지는 생산물은 주로 바이오가스이다. 어떻든 고부가가치의 생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혐기성 바이오정제공정의 접근은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베이스 생산물이 경제적 부가 가치가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저자
Chayanon Sawatdeenarunat,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215()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04~313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