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검은콩을 첨가한 주먹밥의 식후 혈당상승 억제효과 및 관능 특성
- 전문가 제언
-
○ 아시아는 세계적인 당뇨병 발생지로서, 013년 세계 당뇨병인구 3억8200만인 중에서 서태평양과 동남아시아지구가 각각 36.1%와 18.8%로 전체의 약 55%를 점한다. II형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 또는 감수성의 저하를 일으키는 만성적 고혈압을 야기하는 병태이다. 따라서 인슐린의 분비 또는 감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식사에 의한 혈당조절이 중요하다.
○ 북해도 원종인 흑천석 대두(kurosengoku)는 일반대두에 비하여 콩알이 적은 특징을 갖고 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한때 재배가 끊겼다. 최근 이 대두가 안토시아닌, 이소플라본 등의 기능성성분을 함유하여 면역균형 조정기능을 갖는 등의 이유로 건강식품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 흑천석 대두의 이소플라본(IF)은 11종류가 검출되었고 총 함량은 2.23mg/g(DW)였고 가장 구성비가 높은 것은 malonyl genistin으로 50.2%이었다. IF는 대두 전반에 함유되어 일반대두에는 2.0-5.4mg/g에서 검은콩은 2.0-3,7mg/g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 안토시아닌(AC)과 IF는 검은콩주먹밥 중에 포함된 AC총량의 93.7%는 C3G 이었고 또 IF 총량 중 2.2%가 아그리콘형(daidzein: 0.8%, genistein: 1.4%), 30.8%가 비아실화배당체(daidzin: 8.7%, genistein: 20.0%, Glycitein: 2.1%), 63.5%가 말로닐화배당체 및 3.5%가 아세틸화배당체로 구성되었다.
○ 혈당치 상승억제효과는 당질량을 50g 또는 140g로 맞춘 경우 대조김밥과 흑천석 대두 주먹밥의 영양 성분량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콩 주먹밥은 단백질이 약 2.4배, 지질이 약 24배, 식이섬유가 약 5배가 많았다.
○ 국내 블랙푸드인 검은콩 연구로는 검은콩 스폰지케익 제조(2010), 검은콩추출물의 항산화능(2010), 검은콩 펩타이드 섭취의 혈당조절(2015), 추출물의 인간 모유 두 세포성장(2015) 등 다양하며 년 생산량은 평년 134,209톤이며 가공식품으로 두부, 강정, 장류, 막걸리, 두유, 미숫가루, 죽 등 원료로 검은콩 별명은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으로 불리며 앞으로 증산과 활용방안의 종합검토가 요구되었다.
- 저자
- Yasuhiro nFunats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63(4)
- 잡지명
- 日本食品科學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62~169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