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산물 배출가스를 이용한 용융물질의 가스분무화

전문가 제언

한국은 에너지사용량 세계 11, 온실가스 발생량 세계 9위로서 어떠한 형태로든 기후변화문제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200912월 제1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2020년까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를 배출 전망치 대비 30% 줄일 것을 선언하였다. 내부적으로는 환경과 에너지와 관련되는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금속생산 공정에서 슬래그/금속과 같은 용융물질의 가스분무화(gas atomization)를 위해 부산물 배출가스(off-gas)의 활용은 매우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철광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로 슬래그는 약 1300만 톤, 또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페기물인 플라이애시는 약 320만 톤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고로 슬래그의 발생량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용 골재, 슬래그 벽돌, 다공질 기포 콘크리트, 다공성 단열재, 소음 차단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개발을 계속하고 있어 발명의 기술과 같이 제련공장의 배출가스활용을 통한 온실가스저감 노력도 함께 해야 한다.

 

발명의 기술은 금속생산 공정에서 용융슬래그/금속의 가스분무화를 위한 배출가스의 활용은 종전의 배출가스의 사전처리공정과 관련기기의 제거, 가스분무화를 통한 폐열의 회수증진, 분무부화를 통한 과립의 산화방지, CO2배출의 저감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폐기물활용과 온실가스저감을 동시에 이룰 수 있어 우리나라 제련/제련, 야금분야에서 검토하여 도입이 필용한 매우 바람직한 기술이다.

 

특허의 슬래그/금속과 같은 용융물질의 가스분무화(gas atomization)를 위해 부산물 배출가스(off-gas)를 활용하는 기술의 특허범위는 매우 제한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를 인용하여 사용 시는 기술침해에 대해 대비하고 조심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규모 철강산업에서 특허를 참고하여 배출가스의 활용을 통한 슬래그의 고-부가치 제품생산에 큰 참고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HATCH LT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WO20160041092
잡지명
W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4
분석자
김*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