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글루콘산 용액에 의한 전석 나노결정 Ni-Mo합금의 제조와 기계적 성질

전문가 제언

니켈금속은 은백색의 광택을 갖는 금속으로서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형성하며 고온강도, 인성, 내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몰리브덴은 피팅에 대한 저항성과 황, 할로겐 산에 대한 내식성을 증가시키는 원소로 알려져 있다. 이에 Ni-Mo합금은 고압의 압력용기나 내식성이 내열 내식성이 모두 요구되는 금형, 펌프, 석유화학 밸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Ni-Mo합금의 대표적인 Hastelloy는 내식성이 매우 뛰어난 합금으로서 몰리브덴이 30%까지 함유된다. 특히 염산이나 염화수소가스, 환원성 용액용기에도 사용되고 있다. 질산이나 염소 등의 산화성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Cr원소를 첨가하고 있다. 2006년부터 반월공단의 ㈜한경에서는 불고기나 새우소금구이용 히터에 이러한 Ni-Mo-Cr내식성 합금을 제조하여 수출하고 있다.

전석Ni-Mo합금은 순도가 높고 뛰어난 수소제조 촉매성능을 갖고 있어 수소제조공정의 촉매로서 이용이 기대되는 재료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중국의 Q. Han과 S. Cui와 2012년 R. Abdel-Karim도 전석Ni-Mo합금의 촉매성능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전석Ni-Mo합금의 첨가제는 전석물의 외관, 전류효율, 조성, 조직 및 기계적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며 특히 Mo석출량, 전류효율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2011년에도 Ni-Fe Ni-W, Fe-Ni전석이 시도되었으나 적합한 첨가제를 개발하지는 못했다.

2016년 현재, 국내에서의 나노금속은 분말형태로 많이 제조될 뿐 전해법으로 제조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국내 중소기업 여건상 도금이나 표면처리, 전기화학에 대한 연구가 일본에 비하여 많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표면처리 현장에 해외기술정보와 동향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향후 고경력 표면처리 전문가 활용을 통한 Ni-Mo합금 전석 국산화를 위한 지속적인 기술정보 제공이 요구된다.

 

저자
Isano MATSUI, Naoki OMURA, Mingjun LI, Yuichiro MURAKAMI, Shuji TA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7(8)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34~439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