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 분야에서의 기능성 도료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도장(코팅) 작업은 누구라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가, 어느 대상을 어느 정도 접착시키고 싶은가 등의 욕구가 도료(도장재료)의 고성능화, 다기능화, 접착에 관련한 과학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과거의 접착 개념과는 다른 도장제가 고안되고 있다.
○ 토목 구조물은 국민의 생활과 재산, 사회경제활동을 지키기 위해 불가결한 사회 기반이다. 이 가운데 교량이나 하천 관리시설에서는 대부분의 부품재료에 강철 재료가 활용되고 있어 그 대부분에 대하여 도장에 의한 부식방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주요 토목 구조물인 강철 도로교량을 대상으로 이들에 적용되는 기능성 도료의 최근 동향 특히 일본의 예를 소개한다.
○ 강철 도로 교량의 부식 방지 도장에서는 철강 재료 자체의 부식 억제와 미관성 부여라고 하는 2개의 기능이 고도로 요구된다. 최근의 철강 도로 교량 도장에 관한 신기술의 개발 추세는 “환경”, “고효율?원가절감”, “내구성”이라고 하는 3개의 키워드로 나타낼 수 있다. 최근에는 철강 도로 교량의 현장 도장 공사에서 화재 안전성 확보 면에서도 수성 도료로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은 광화학 산화제나 부유 입자상 물질의 원인의 하나로 되어 있다. 과거의 도료에서는 수지나 안료, 첨가제 등을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해, 또는 도장할 때 도장 작업성이나 건조성 등을 조정하기 위해 많은 VOC를 포함하는 유기용제가 사용되고 있다.
○ 국내외적으로 화학소재를 기반으로 한 점에서 각종 코팅 도장재료가 첨단 제조업의 필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종 소재 간 결합과 접착기술 복합기능을 구현하는 소재, 생분해성 등 환경대응형 소재 등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표면?계면 해석기술과 나노기술의 진보가 현저하다.
- 저자
- Tomiyama Tomonor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64(4)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33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