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의학에 적용하기위한 4D 생물 프린팅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새로운 기술인 4D생물프린팅은 조직재생같은 새로운 의학적 수요에 부응하는 유망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생물의학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4D생물프린팅의 개념과 기작이 연구자들 가운데에 널리 알려지거나 정확히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 자석에 반응하는 소재의 개발로 자장을 이용한 생물프린팅된 골격의 변형이 가능해졌다. 프린팅 도중에 자장의 사용으로 자성을 띠는 굳은 혈소판을 포함하는 이방성(anisotropic)입자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 4D생물프린팅은 환경자극에 따라 형태를 바꾸고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소재에 기초한 복합조직구조 그리고 구조설계가 가능한 골격내에서 프린팅된 새포집단의 후성숙(post maturation)을 포함하는 내재하는 이점 때문에 조직재생과 약 전달같은 생물의학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 4D생물프린팅된 구조가 단순변형에 한정되고 있는 것은 주로 이들 변형이 대규모로 일어나고 프린팅된 물체의 시공간적인 진화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미래과제의 하나는 4D생물프린팅 구조를 미세규모 즉 국지화된 규모로 제어하는 것이 될 것이다.
○ 정밀하게 시공간적으로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생물프린팅의 해상도를 개량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것이며 보다많은 노력이 서로 다른 종류의 반응성 생물소재를 프린팅하는데 경주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4D생물프린팅 분야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래를 선점할 수 있는 기술로 국가차원에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로 대학 및 산업계에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져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 저자
- Bin Ga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34(9)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46~756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