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의학에 적용하기위한 4D 생물 프린팅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새로운 기술인 4D생물프린팅은 조직재생같은 새로운 의학적 수요에 부응하는 유망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생물의학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4D생물프린팅의 개념과 기작이 연구자들 가운데에 널리 알려지거나 정확히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자석에 반응하는 소재의 개발로 자장을 이용한 생물프린팅된 골격의 변형이 가능해졌다. 프린팅 도중에 자장의 사용으로 자성을 띠는 굳은 혈소판을 포함하는 이방성(anisotropic)입자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4D생물프린팅은 환경자극에 따라 형태를 바꾸고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소재에 기초한 복합조직구조 그리고 구조설계가 가능한 골격내에서 프린팅된 새포집단의 후성숙(post maturation)을 포함하는 내재하는 이점 때문에 조직재생과 약 전달같은 생물의학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4D생물프린팅된 구조가 단순변형에 한정되고 있는 것은 주로 이들 변형이 대규모로 일어나고 프린팅된 물체의 시공간적인 진화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미래과제의 하나는 4D생물프린팅 구조를 미세규모 즉 국지화된 규모로 제어하는 것이 될 것이다.

 

정밀하게 시공간적으로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생물프린팅의 해상도를 개량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것이며 보다많은 노력이 서로 다른 종류의 반응성 생물소재를 프린팅하는데 경주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4D생물프린팅 분야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래를 선점할 수 있는 기술로 국가차원에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로 대학 및 산업계에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져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저자
Bin G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4(9)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46~756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