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이온성 전분 함유 화장품

전문가 제언

본 특허 출원은 전분 중 특히 녹두전분의 양이온성 전분이 화장품 성분으로 피부와 모발에 부착력과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모발과 피부가 매끈하고 부드러워지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전분은 특히 샴푸와 컨디셔너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품 예로 PenCare DP (INCI: Starch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가 있으며 샴푸에 사용 시 0.1-1.5% 사용한다(http://www.cosmeticsandtoiletries.com/formulating/function/moisturizer/Penford-Develops-Biobased-Conditioning-Polymer-for-Skin-and-Hair-288540871.html).

 

강병선은 치환도별 양이온성 옥수수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밝혔다(산업식품공학, 172, 2013, pp.151-158 ). 국내에서는 원영산업이 양이온성 전분을 포함한 각종 전분 유도체를 만들고 있다. 전분 유도체로 대표적인 것은 Hydroxypropyl, Carboxymethyl, Cross-linked, Cationized starch, Phosphated starch가 있다.

 

전분 유도체는 냉수 용해성이 우수하고 저온 점도 안정성이 있고 이온성, 틱소트로피성, 접착성, 사이징성, 냉해동안정성, 계면활성이 있다. Josiane C. Raguzzoni 팀은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가 전분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하였다(Carbohydrate Polymers, 150, 2016, pp.369377 ).

 

Sunita Adak 팀은 리파아제와 이미다졸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에스테르화로 전분을 개질하는 연구를 하였다(Carbohydrate Polymers, Volume 150, 5 October 2016, Pages 359-368). Hector J. Prado 팀은 폴리사카라이드의 친환경적 양이온화와 산업이용에 대한 리뷰를 발표하였다(European Polymer Journal, Volume 52, March 2014, Pages 53-75). KAISTJong-Duk Kim 교수는 알킬 양이온성 전분의 실리카 표면 흡흡착 특성을 발표하였다(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 Eng. Aspects, 441, 2014, pp.449458).

저자
Penford Products Co.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038397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
분석자
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