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유화제
- 전문가 제언
-
○ 본 리뷰는 천연유화제의 종류, 유화제로서의 미시적 거동, 유화입자의 응집 문제 등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식품, 화장품, 의약품 유화 제품을 개발하려는 연구원은 본 리뷰에서 천연유화제의 분자구조와 미시거동의 상관성을 이해하면 합성계면활성제의 분자설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화장품용 천연계면활성제의 제조 및 이용, 최신기술 동향에 대한 논문이 있다(Adhesion and Interface v.14 no.4, pp.197 - 211, 2013, 1229-9243). 아데나기업부설연구소의 장아름은 비누풀 잎 추출물로부터 천연 계면활성제 개발을 보고하였다(KSBB Journal v.28 no.3, pp.202 - 207, 2013, 1225-7117 ). 아주대학원 이명석은 2010년도에 계면활성제 레시틴을 발표하였다. 부경대 전병수 교수는 가압액체추출법으로 미역에서 추출한 fucoidan은 항산화성, 유화제 기능을 갖는 것을 발표하였다(Carbohydrate Polymers 153 (2016) 518?525 ).
○ 천연유화제의 부족한 물성을 보완하려면 가수분해 등에 의한 적절한 크기로 천연 분자의 절단, 친수성/친유성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개질을 할 필요가 있다. 천연물 중에도 독성 물질이 있고 합성물도 정제분리를 잘 하면 부작용 문제가 없을 수 있다. 합성원료에 비하여 천연원료를 선호할 수 있으나 무조건 합성물을 기피하는 것은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 천연물을 추출하는 유기용매도 합성 시 피부에 좋지 않은 불순물이 존재할 수 있다.
○ 사포닌, 인지질,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등의 천연유화제를 사용한 O/W 나노에멀젼에 대한 최신 논문으로 Long Bai 팀의 논문이 있다(Food Hydrocolloids, Volume 61, December 2016, Pages 703-711). Bengu Ozturk 팀은 식품 에멀젼에서 천연유화제의 진보에 대한 발표를 하였다(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Volume 7, February 2016, pp.1-6).
○ Xingfeng Xu 팀은 부분가수분해한 쌀 글루텔린의 유화제 기능을 유청 단백질과 비교하였다(Food Chemistry, Volume 213, 15 December 2016, pp.700-707). Baoru Yin 팀은 펩타이드-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를 친수성/친유성을 조절하여 pH 응답성 유화제를 발표하였다(Food Hydrocolloids, Volume 63, February 2017, Pages 120-129).
- 저자
- David Julian McClements, Cansu Ekin Gumu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234()
- 잡지명
-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26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