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물 기반 시설의 건설 및 철거 폐기물의 재활용

전문가 제언

 

 

본문은 건설 및 철거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건축 산업에 적용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재활용 될 수 있는 발포유리나 세라믹 타일용 유약 등의 생산으로 폐기물의 발생 및 그와 관련된 환경 문제 등 해결을 통하여 차세대 환경보호와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수익성 있는 단단계 생산가능성을 타진하여 보았다.

 

우리나라의 2009년 기준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 비중은 건설폐기물(51%),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35%), 생활폐기물(14%) 순이다. 국내 건설경기가 침체기를 맞이하여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다소 감소할 전 망 이기는 하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은 매우 미약하다. 현재 가장 많이 재활용되는 것이 순환골재로 발생 폐 콘크리트 10..1%(2010년 기준)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해양투기가 금지되고 매립지가 감소함에 따라 자원재활용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건설폐기물의 의 재활용처리를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 활성화 및 지속적이고 경제적인 자원순환의 중장기 정책이 범국가적으로 세워져야 할 것이다. 자원 재활용 산업의 대규모 생산시설, 원거리 이동 대응, 건설 및 철거 지역 산업 영세 소규모의 사업 등 다양한 형태의 재활용 산업의 육성을 위한 건설 철거 폐기물 처리 협회등도 설비할 필요가 있다하겠다.

 

자원재활용 산업기술 연구를 위한 모임 구성하여 향후 연구모임이 구체적인 분야별 소규모 연구조합으로 전환 하여 지속적이고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건설철거산업 폐기물 처리 기술개발, 산업화 등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모임의 정례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저자
A. Dominguez, M.I .Dominguez, S. Ivanova, M.A. Centeno, J.A. Odriozol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42()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17~15223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