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 테스팅의 도전과 기술
- 전문가 제언
-
○ 빅 데이터, 산업에서 새로운 유행어는 그들을 유용하게 하도록 필요한 시간 안에 있는 종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처리와 분석적 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이다.
○ 테스터는 테스트중인 기본원칙을 소중히 여길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성능의 장애와 그 밖의 여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의 구조에서 상세 부분들을 동등하게 인식하여야 한다.
○ 빅 데이터 활용 사례의 선두 주자는 구글이다. 구글은 데이터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얻을 수 있는 정보의 품질이 좋아진다는 것을 인터넷 검색에서 실천하고 있는 기업이다.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웹 페이지를 탐색해서 제목과 내용이 검색어와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측정해 지수로 환산한다.
○ Apache Cassandra와 Apache TinkerPop의 오픈소스 재단에 구축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용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전문업체인 DataStax는 데이터 문제에 대한 포인트 솔루션의 시대가 지나갔다는 주장을 내놨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4월 사물인터넷 기본 계획을 발표하면서, ICBM(IoT Cloud Bigdata Mobile) 융합 서비스 발굴 및 선도·시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ICBM이란 기본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하고,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로 이를 분석해서, 적절한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 서비스(Mobile)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 웹 로그, 무선 주파수 ID(RFID), 장치 내장된 센서, GPS 시스템 기타 등등과 같이 다양하고 무수한 소스에서 발생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필요하다.
- 저자
- Naveen Garg , Dr. Sanjay Singla, Dr. Surender Jangr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85()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40~948
- 분석자
- 심*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