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ω-3 DHA의 형질 발현 영향으로 치매(Alzheimer's disease)예방 특징

전문가 제언

치매는 기억력, 사고능력이 악화되고 일상생활에서 수행하는 능력과 행동 등이 퇴보하는 질병이다. 치매는 주로 노인에게 발병하지만 노화에 따른 정상적인 과정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4,750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매년 770만 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2,030년까지 세계 인구 중 7,650만 명이 치매환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2,050년까지는 13,550만 명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는 빈국이나 중간 정도의 소득을 벋는 국가에서 주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치매는 직접적인 의료 비용차원에서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결과를 초래한다. 2,010년을 기준으로 사회적 비용과 비공식적인 치료비용을 합쳐 6,040억 달러로 계산되었다.

 

20162Grand View Research사가 발간한 자료에 의하면 2014년 전 세계 오메가 3 시장은 182천만 달러로서 여러 국가에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dl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적인 산업계에서는 지속적인 제품 혁신과 연구개발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2015년 네덜란드 DSM에서는 어류 기름을 기반으로 고농도로 농축된 DHAEPA를 생산하였고 채식주의자용으로 해조류 기름에서 고농도의 DHA를 생산하였다. 이들 제품은 85% 오메가 3를 포함하여 심혈관계 및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영국의 Croda사에서는 Incromage DHA를 출시하여 유럽 식품안전청으로부터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인증 받았다.

 

이와 같은 국제적인 시장현황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오메가 3에 대한 연구 및 제품의 혁신이 부진한 상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농축을 활용한 제품 혁신보다는 각종 생약제를 활용하면 고농축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Mounir Belkouch, Mayssa Hachem, Abdeljalil Elgot, Amanda Lo Van, Madeleine Picq, Michel Guichardant, Michel Lagarde, Nathalie Bernoud-Hubac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38()
잡지명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1
분석자
고*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