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피더스균의 유기농발효유에서 생존과 세포막 지방산조성의 관계

전문가 제언

이 연구는 2 (species)의 비피도 박테리아에서 3 균주를 선발하여, 박테리아 막의 지방산 구성과 저온 저장기간 동안의 균주 생존력의 상관관계를 구명한 내용이다. 산성화활성, 산화환원전위, 불포화지방산 비율 등이 다른 재래식 우유와 유기농 우유에서 자란 각각의 균주들이 사용된 발효우유에서 저온 저장기간 동안 이들 균주들의 생존력이 다르게 나타났고, 저자들은 이러한 생존력의 차이가 박테리아 막 지방산 구성의 차이와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비피도 박테리아는 1960년대 이전에는 Lactobacillus (genus)에 속하는 bifidus (species)으로 분류되었으나, 그 후 Bifidobactrium이라는 속으로 분류되어 그 안에 infantis, animalis 등 수십 개의 종들이 현존하고 있는 체계로 바뀌었다. 이 세균은 그람-양성, 비운동성 박테리아로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위·장관, , 질 등에 널리 서식한다. 비피도 박테리아 중 일부는 ‘probiotics’로 사용된다.

 

전에는 Bifidobacterium animalisB. lactis가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었는데, 현재는 이 두 종류가 모두 B. animalis의 하나의 종이고, 그 안에서 아종(subspecies)으로 분류하여 전자는 subsp. animalis, 후자는 subsp. lactis로 세부 분류된다. 이런 문제는 식품산업에서 이 두 아종들이 probiotic 제품에 사용될 때 식품표시에서 아직도 옛날 이름 B. animalisB. lactis가 그대로 사용되는 일이 있어, 실제로 어느 아종이 사용되었는지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Probiotics2001년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살아 있는 미생물로, 적당량 투여되었을 때 숙주 건강에 유익한효과를 내는 경우라고 정의하였다. Probiotic 제품의 판매는 세계적으로 2010에서 2014년 사이에 35%가 증가하였는데, 동유럽과 태평양 아시아에서 특히 빠르게(67%) 성장하고 있다. 국내 시장도 슈퍼마켓의 유가공식품코너에 가면 제품의 다양성과 수요증가를 실감할 수 있다. 국내 비피도 연구는 서울대 지근억 연구팀이 국가지정연구소로 지정되었다.

 

 

저자
Florence, A, C, B,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61()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