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탈지분유에서 열초음파에 의한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의 멸균

전문가 제언

 

식품, 장비 등에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하여 초음파처리를 하는 것은 1960년대에 시작된 것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잠수함에 대한 초음파 공격을 시도하는 군사시험에서 어류들이 희생된 결과로부터 착안된 것이다. 이 연구는 열 초음파 또는 초강도 초음파(HIU) 같은 새로운 방법으로 멸균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박테리아 중 일부는 포자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박테리아 포자는 박테리아가 불리하고 적대적인 환경 조건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한다. 박테리아 포자의 외벽은 화학물질, 염료, 열 등에 저항할 수 있는 keratin으로 싸여있어, 박테리아가 불리한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손상 조건을 견디어낼 수 있다. 포자 형성 박테리아는 숙주에게 식중독 등 여러 가지 질병을 가져올 수 있다.

 

멸균을 확인하기 위한 멸균 지표인자(indicator)로는 화학물질의 색깔 변화를 관찰하는 화학 지표인자, 화학 지표인자가 종이 테이프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테이프 지표인자, 그리고 고압 증기멸균기에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기능이 적절한지를 판단하는데, 생물지표인자로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라는 박테리아를 사용한다.

 

이는 그람 양성, 호열성 박테리아로 두꺼운 세포벽으로 싸여 있는 막대모양의 혐기성균으로 호열성이어서 뜨거운 배관 같은데 발견된다. 이 박테리아는 낙농, 식품, 바이오텍 업계 등에서 사용하는 공정장비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 멸균에 사용된다.

 

이 연구는 탈지분유에서, 3가자 변수(고형물 농도, 온도, HIU 처리 기간)에 대한 통계학에서 사용하는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2개의 polynomial 모델을 이용하여 G. stearothermophilus의 영양세포와 포자의 멸균을 조사한 것이다.

 

이 분야의 국내 연구는 한국기계연구원(이양래 등), 중앙대(하상도 등)에서 초음파처리 멸균에 연구 활동과, 한국폴리텍 IV대학 산학협력단에서 받은 특허(공고 일자 2011. 2. 14) 등이 있다.

 

저자
Beatty, N, F, Walsh, M, K,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61()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0~17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