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낙농제품에서 분라한 Shiga 독소 생산 대장균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사람과 온혈동물의 장관 내에 상재하는 세균이다. 일부 대장균은 유아의 전염성 설사증과 성인의 급성장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이 있다. 이들에 의한 식중독은 대장균에 오염된 식품 섭취로 일어난다. 이들 균에는 somatic 항원(O), flagella 항원(H), capsular 항원(K)이 각각 여러 종으로 존재한다. 병원성 대장균 중에는 위험성이 높은 O157:H7 등의 혈청형이 대표적이다.

시가(Shiga)독소는 원래 Shigella dysenteriae 세균에서 생산되어 사람에 이질을 일으키는 독소로 보고되고, 이를 발견한 Kiyoshi Shiga에서 온 이름이다. 여기에 Stx1Stx2의 주요 2그룹이 있다. 시가독소는 STEC(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이라 부르는 대장균에서도 만들어진다. 시가독소는 숙주의 표적 세포에서 ricin과 비슷한 기작으로 단백질합성을 억제한다. 시가 단백질은 리보솜의 60S28S RNA의 특정한 adenine nucleobase를 절단하여 단백질합성을 억제한다.

 

이 연구에서 총 197개의 대장균 균주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주로 혈청형 O157:H7, O26:H11, O103:H2, O145:H28 등이다. 낙농제품에서 회수된 균주들을 사람, 육류, 환경에서 검출된 균주들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낙농제품에서 수집한 기준 집단 STEC 분리균주를 PFGE(pulse-feeding gel electrophoresis) fingerprinting으로, 이 중 일부를 독성 유전자 프로파일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STEC 제한 DNAPFGE 프로파일은 높은 유전체 변이성을 보여 모든 낙농분리균주를 감별할 수 있었다.

 

시가독소 생산 병원성 대장균에 대하여 한국식품연구원의 김현정 등은 국내 식중독 발생 건수, 환자 수, 사회적 손실비용 등 다양한 통계자료와 생리학적 특성, 독성, 오염원 및 관련 식품 등 조사한 보고가 있다.

신경독이라 불리는 시가독소는 비내열성, 항원성 및 실험동물에 대하여 고도의 독성을 가진 균체외 독소로 낙농공업에서 큰 관심을 두고 대장균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철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Douellou, T.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32()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2~62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