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기 변형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자기장 센서 공진기의 공진주파수 이동

전문가 제언

 

오늘의 산업문명에서 자기 현상의 다양한 활용은 그 어느 기술보다도 단연 으뜸일 것이다. 예컨대 갖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전기 에너지 는 모터라고 하는 구동 장치가 있기에 기계적 에너지로서의 활용이 가 능하다. 이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의 전자기적 원리에서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가 핵심 정보이며, 이를 위한 자기장 측정기술이 필요하다.

 

위치추적이나 차량감지의 사례에서 보듯이 자기장의 활용은 비접촉이라는 점이 큰 장점요소로 작용한다. 이 장점은 생체조직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 측정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오늘날 이 기술은 생의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ETRI는 이 목적에 활용될 수 있는 ELF(극저주파수) 자기장 센서 모듈의 산업계 기술 이전을 공표한 바 있다.

 

최근 표준과학연구원 생체신호센터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뇌자기신호 측정기술을 호주의 세계적 의료기기회사에 기술이전 하였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사례에서 보듯이 상대적으로 중·저급 기술인 재래식 자기장 측정기술 활용 아이디어 역시 출연연이 갖추고 있는 첨단 연구 능력과 접목될 때 세계적 수준의 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시설과 측정능력에서 자기장 측정기술의 국내 최정상에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있다. 표준연이 보유하고 있는 저자기장 표준장치는 비자성 챔버와 지자기장 상쇄장치로 구성되며, 세계적으로도 몇 순위 내에 드는 첨단 시설이다. 이들 장치와 시설은 표준시설로서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산업과의 협력연구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장 측정의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측정 센서의 원리 역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비교적 뒤늦게 대두된 공진형 MEMS 자기장 센서에서는 흔히 멤브레인이나 캔틸레버 구조의 공진기를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 소개하는 자기변형 판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진주파수 이동량에 의해서 자기장을 측정하는 기술은 비교적 최신 기술로서, 현재로서는 기술의 성숙도와 활용성 측면에서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분야이다.

저자
Leixiang Biana, Yumei Wenb, Ping Lib, Yifan Wua, Xibei Zhangc, Ming L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6
권(호)
247()
잡지명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53~458
분석자
은*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