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지진계
- 전문가 제언
-
○ 지진 측정 및 감시망의 모든 지진계는 관성질량-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관성 원리에 의해서 작동한다. 이 원리에 의하여 지진계는 지구의 수직 운동을 결정하고, 질량과 스프링 및 프레임의 상대적 배치를 조절함으로서 모든 방향의 운동을 측정할 수 있다. 현재의 상용 지진계들은 0.1 μm 수준의 지진 운동까지 측정할 수 있다.
○ 지진 측정이외에도 지진계는 보안 시스템과 구조물 상태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이 경우 compact한 구조의 가속도계가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가속도계 지진계는 미세 지진의 탐지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기술 등 다양한 맞춤형 지진측정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자연재해에 대한 연구는 그 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할 때, 오랫동안 심각한 지진피해 기록이 없어 세계적으로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지진 관련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은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20 세기 후반에 들면서부터 한반도를 둘러싼 지진 발생 추이는 우리도 결코 지진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다는 경고를 주고 있다.
○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진 대비 연구개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지진관련 인재 양성과 가반기술 개발 및 응용연구에 나서고 있다. 국립기상과학원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국책연구기관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물리학과)와 전남대(지구환경과학과), 강원대(지구자원연구소) 등 대학에서도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지진측정 시스템의 또 하나의 도전은 기록 기술이다. 관성질량을 이용하지 않는 광학적 및 전자기계적 지진계는 전자적 측정결과를 컴퓨터에 의해서 기록한다. 이는 고도의 IT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 분야로서, 우리의 IT 기술 경쟁력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분야이다.
- 저자
- Oleg T. Kamenev, Yuri N. Kulchina, Yuri S. Petrova, Ruslan V. Khiznyaka,Roman V. Romashk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6
- 권(호)
- 244()
- 잡지명
-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33~137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