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식품 소비 경향과 기후 변화가 식품 매개 질병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농장에서 식탁까지 공급되는 식품 안전에 대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품 매개 병원체 감염으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 비-O157 STEC(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와 Arcobacter butzleri 같은 새로운 병원체가 식별되고 Helicobacter pullorum 같은 병원체가 식품매개 질병으로 드러났다.
○ STEC가 원인인 식품매개 질병의 세계적인 확산 방지와 통제로 질병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새롭거나 변화된 질병을 경고하고 복잡한 국제적인 공급 사슬을 통한 식품 유통 과정에서 오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통합된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식습관 변화에 따라 서방 국가들에서 신선한 잎채소가 점점 더 많이 소비되면서 식품의 세계적인 교역량이 늘어나고 있다. 또 지구 기온이 계속 올라가면서 생태계 변화가 계속된다. 이와 더불어 알고 있거나 새로운 병원체 출현으로 식품매개 질병 관련성이 옮겨가고 있다.
○ 유전체학 자료로 병원체 생존, 성장이나 독성 관련 표지 유전자를 식별하여 식품 안전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한다. 특정 유전체 서열 분포와 다양성과 함께 질병 발생 상관성을 밝혀 구체적이고 정확하며 정량적인 미생물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건강에 대한 의식 변화에 따라 신선 식품 소비가 크게 늘고 있다. 그에 따라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신선 편의 식품 발전 방안, 포장 개선과 유통 확대 방안 연구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와 함께 기술적 문제점과 식품 안전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 2016년 8월 거제 지역에서 어류 섭취 후 15년 만에 국내에서 콜레라에 감염된 환자가 세 명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보건 당국은 균은 식별하였으나 감염 경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유전체학 등의 최신 기술을 활용한 병원체 생존, 전염 분석, 발병 반응, 진단, 예방 및 통제 수단을 하루 빨리 정립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Gerardo Manfreda, Alessandra De Cesar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8()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9~103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