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이한 경운체계에서 건답직파 벼의 잡초관리에 미치는 제초제 효과
- 전문가 제언
-
○ 잡초는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로 전 세계에 약 30,000종이 있으며 그중에 농경지에 생존하는 품종은 약 6,000종이 알려져 있고 주요 관리대상이 되고 있는 품종도 1.800종에 이르고 있다. 국내에 발생하는 잡초는 약 400여종으로 논 잡초가 43과 119종, 밭 잡초가 48과 301종, 논과 밭에 공동으로 서식하는 잡초는 11과 39종이 알려져 있으며 농경지뿐만 아니라 과원, 목초지, 잔디밭, 비 농경지 등 끊임없이 교란되는 장소에서 자라고 있다.
○ 국내의 논 잡초에는 올방개, 벗풀, 올미, 강피, 물피, 물달개비, 방동사니, 가래 등이 있으며 그중에 올방개는 전국에 거처서 발생하며 벗풀도 발생빈도가 높았는데 올방개, 벗풀, 올미가 3대 다년생 잡초였고, 피, 물달개비 등이 유행하는 일년생 잡초이다. 2012년 “논잡초 발생양상과 논 제초제 사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피, 물달개비, 빗풀, 올챙이고랭이, 올방개의 순위였으며 제초제 저항성을 나타내는 잡초는 물달개비, 논피, 올미 등이었다.
○ 잡초의 방제에는 예방적 방제와 직접적 방제가 있는데 종자의 선별, 윤작, 방목, 소각 및 소토, 경운, 피복, 관계 등은 예방적 방제에 해당하며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제초제 등을 이용한 화학적 방제는 직접적 방제에 해당하는데 이들 방제수단을 복합한 종합적 방제도 있다. 제초제의 사용은 대표적인 화학방제수단으로 2.4-D, 아미노피랄리드, 아트라진, 클로피랄리드, 디캄바, 파라콰트, 염소산나트륨 등이 현재 농경지 및 비 농경지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제초제들이다.
○ 국내의 논 잡초 방제에 쓰이는 제초제는 옥시디아존유체, 뷰타클로르캡슐현탁액, 메페나셋, 파라조설류론에틸액상수화제, 옥시디아길유제의 순서였으며 1회 살포가 15.9%, 2회 살포가 75.6%를 차지하고 있어서, 제초제 남용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제초제의 남용은 잡초의 제초제 저항성을 유발하며 환경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천연 동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의 확대와 방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종합방제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 저자
- Virender P. singh, Vipin C. Dhyani, Shalendra P. Singh, Abnish Kumar, Sudheeesh Manalil, Bhagirath S. Chauh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80()
- 잡지명
- Crop Prote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8~126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