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스테이션용 강을 이용한 축압기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일본정부는 ‘수소 연료전지 전략 로드맵’ 수립으로 수소에너지 이용 확대와 수소 발전의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고비용의 수소스테이션 설치가 이를 지연시키고 있다. 수소 연료전지 로드맵에서는 2015년 내에 4곳의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100개정도의 수소스테이션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20개 정도만 완료되었다. 일본정부는 기존의 40MPa까지의 수소스탠드기준을 82MPa까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편리한 수송을 위해 기술 기준을 완화하여 정비하였다.
○ 기존 주유소와 천연가스 스탠드 병설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수소충전용 노즐의 경량화와 수소 스탠드에 설치하는 축압지의 재질을 강 재료만 사용하던 것을 복합재료(탄소섬유)까지 확대시키는 등 수소스테이션 설치보급을 위해 다양한 규제 완화가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별로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본 NEDO는 설치, 운영에서의 규제검토와 비용 삭감을 위해 새로운 연구개발에 착수하기로 결정하고 수소스테이션의 설치, 운영의 규제검토 및 비용 삭감을 위해 새로운 7개의 테마를 채택하였다.
○ 국내에서도 수소스테이션 보급계획 및 설치비용을 근거로 하여 내수 및 수출시장을 계상하였는데 내수시장은 2030년까지 5,540억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 수소스테이션 건설은 에너지기술연구원을 필두로 정부의 실증과제를 통해 3곳에서 시범적으로 설립 운영하였으며 2013년말현재 국내 수소스테이션은 16개소가 완공되어 14개소가 운영가능하며 실증 중인 수소스테이션의 일부분은 한국가스공사에서 인천공항 셔틀버스 수소 연료전지버스에 충전하고 있다.
○ 국내 수소스테이션은 건설된 수에 비해 실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가 보급이 될 때 일반인이 활용할 수 있는 수소스테이션은 절대적으로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실제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보급을 위해 정부가 정책을 수립하는데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접근하여야 하는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향후 국내 수소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 작성에서도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하고 전담기관의 필요성도 검토하여야 한다.
- 저자
- Hironobu Arashi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5(4)
- 잡지명
- 燃料電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8~52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