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탄광 전과정평가(LCA) 모델

전문가 제언

전과정평가(LCA)는 서비스를 포함한 특정 제품의 전과정, 즉 원료 및 가공, 제조, 수송 유통, 사용, 재활용, 폐기물 관리 과정에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의 양을 정량화하여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개선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객관적이며 적극적인 환경영향평가 방법이다.

 

석탄광 운영 평가를 위한 전산 LCA 모델 구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석탄광 운영 단계에서 단위 공정의 식별이 우선되어야한다. 그리고 석탄광 운영 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해야한다. 이 논문은 환경에 직접적/간접적으로 끼치는 영향, 공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원자재의 생산과 관련된 변수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석탄광 운영단계에서 환경 평가에 관한 새로운 접근법을 소개하고 있다.

 

LCA 모델은 전과정 접근법과 함께 무연탄광의 단위 공정 식별에서 환경 지표의 평가를 가능케 한다. 제안된 모델은 IPCC방법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평가와 인간의 건강, 생태계, ReCiPe 방법에 기반한 자원과 같은 손상 카테고리의 평가와 20, 100, 500년 시간대에 따른 평가를 가능케 한다.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분야는 화석연료의 사용과 메탄 배출, 전기 사용, 폐기물 처리, , 강철 지지물 등과 관련된다. 석탄광 운영의 환경 평가는 폐기물 처리와 메탄 배출, 배수를 제외하고 전기의 사용과 열, 철 주로 강철 지지물 등을 포함해야 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단위 공정의 환경영향평가를 비교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세계의 모든 무연탄광이 사용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석탄광에 대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LCA)를 시도된 바는 없다.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석탄광은 5개 광산이 가행되었으며 전체 생산량은 1,764,000톤을 기록하였다. 국내 석탄광이 비록 소규모로 운영되고는 있으나 단위별 전 과정평가를 통하여 에너지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오염저감 등 환경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저자
Dorota Burchart-Korol, Agata Fugiel, Krystyna Czaplicka-Kolarz, Marian Turek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62()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1~72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