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없는 도시: 건강한 도시생활로 가는 길
- 전문가 제언
-
○ 도시의 차량 증가는 도로 및 주차시설, 교통관리 시설 등의 확충을 위해 많은 예산이 소요되게 할 뿐 아니라 대기오염을 악화시키고 도시 녹지공간과 도시민들의 신체활동을 감소시켜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차량 배기가스의 환경기준 강화와 더불어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는 정책들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차량통행량이 많은 도심이나 도로변은 차량의 배기가스가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배기가스 중에는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 미세먼지, 아황산가스(SO2), 블랙카본(black carbon) 등과 같은 온실가스와 건강에 해로운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다.
○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등으로 대기오염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노후 경유차의 통행제한과 조기 폐기정책 등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한국교통연구원에서 도보, 자전거, 대중교통과 같은 녹색교통이 국민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사례와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과 이를 완화시키는 방안에 관한 연구사례들이 많이 있다.
○ 그러나 차 없는 거리, 교통 혼잡통행료 징수, 승용차의 요일제 운행 등 도시의 차량통행을 억제하는 정책들의 시행에 따른 효과 ? 대기오염, 소음, 도심의 기온상승을 완화시키는 효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효과 ? 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결과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들을 활성화시켜 연구결과를 도시의 교통정책 수립에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스페인의 Pontevedra시를 비롯하여 “차 없는 도시”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된 다른 나라 도시들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국내에서도 도로 교통이 혼잡하고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시지역이나 신도시 개발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차 없는 도시”를 시행하고 이로 인한 환경오염 개선효과, 주민들의 건강증진 효과, 경제적 효과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ark J. Nieuwenhuijsen , Haneen Khrei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94()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51~262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