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2O가 담지된 Al2O3 촉매의 화학작용제 제독성능
- 전문가 제언
-
○ 화학작용제 제독제(decontaminant)의 개발방향은 제독효과가 신속하고 화학작용제 제거율이 높을 뿐 아니라 환경과 인체에 안전하고 정밀장비나 컴퓨터 등에 제독제를 살포한 후에 이러한 장비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제독제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다.
○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독제 후보물질로 화학작용제에 대한 흡착(adsorption)과 화학적 분해 기능을 겸비한 반응성 흡착제(reactive adsorbent)가 관심을 끌고 있다. 화학작용제 분해성능이 우수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나 금속유기물 골격체(metal organic frameworks)를 선정하여 활성탄이나 Al2O3 등과 같은 촉매담체(catalyst support)에 첨착(impregnation)시키는 방안도 바람직한 반응성 흡착제 제조방법이 될 수 있다.
○ 신경작용제, 수포작용제 등 화학작용제의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화학작용제에 대하여 제독효과가 우수한 촉매들도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촉매들을 조합한 복합재(composite)를 제조하여 제독제로 응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제독제의 살포방법, 제독제의 저장성, 운용 편의성 등도 제독제의 실용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새로운 제독제 후보물질의 선정 과정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 화학작용제의 촉매분해 반응이나 반응성 흡착제에 관한 국내 연구사례가 빈약하기 때문에 학계를 중심으로 화학작용제의 유사작용제들(simulants)을 사용하여 촉매 분해반응에 관한 연구와 응용 가능성이 높은 촉매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초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 학계의 기초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방과학연구 분야에서 화학작용제의 종류, 오염표면의 재질과 특성, 제독제의 양, 반응시간, 온도, 습도 등의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른 제독성능 실험을 실시하여 새로운 제독제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 저자
- Meng-Wei Ma, Dong-Hau Ku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301()
- 잡지명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4~91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