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사회 실현을 위한 본인인증 지원 해법
- 전문가 제언
-
○ 최근 ICT의 발전과 보급으로 개인·조직을 불문하고 정보의 취득, 전송, 활용 등의 기회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ICT는 사이버 범죄와 국제 테러 등 대규모의 조직적인 범죄 기반으로도 이용되어 치안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또한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 공적신분증은 주로 눈으로 확인하고 있어 엄격한 본인 확인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위장의 용이성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의 본인 확인 방법으로는 범죄 방지대책으로 불충분하다.
○ 이러한 상황에서 본인인증 지원 해법인 Trust Eye가 후지쓰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것은 공적신분증의 위변조 검증으로 사기나 위장 등의 혐의가 있는 수상한 사람의 발견과 공적신분증의 부정 이용 방지 그리고 보안 ID카드 발행 및 인증에 관한 본인 정보 관리 등의 서비스를 실현하는 패키지이다. 이 문헌에서는 Trust Eye의 제품·서비스 및 인증 기술의 개요와 공적신분증의 고도 활용 그리고 생체인증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대응에 관해 설명한다.
○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은 본인인증에서 기존의 지문, 정맥, 화자인식과 같은 바이오 정보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정보(심전도, 행위 패턴, 키보드 입력 리듬, 신체 부위)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을 시도 중이다. 하지만 국내는 최근에 들어서야 원격에서 얼굴, 정맥, 목소리 등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본인 확인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추가로 스마트폰, 신용카드 등 단말을 활용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도 개발될 필요가 있다.
○ 본인인증 분야에서 생체인증은 뛰어난 보안성과 다양한 기기에 대한 호환성, 높은 사용 편의성으로 기존의 패스워드 방식을 대체하는 차세대 인증방식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세계 시장조사기관인 Tractica는 전 세계 생체인식 시장이 2015년 20억 달러에서 2024년 14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도 첨단 바이오 정보 적용으로 확실한 본인인증 체계를 확립하여 공적신분증과 금융권의 신용카드 및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에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Sakafuji Hideak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67(1)
- 잡지명
- 雜誌FUJITS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4~20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