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절삭가공의 Belag 생성 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최근 신형 항공기에 사용되는 구조용 재료를 보면 알루미늄합금 재료는 차츰 줄어들고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등 복합재료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결합재로 사용되는 티타늄합금도 따라서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절삭가공하기 힘든 난삭재로서 알루미늄에 비하여 저속 강성 절삭가공으로 가공법이 바뀌면서 종래의 기계보다 고강성이 요구되고 있다. 주축은 고출력, 높은 토크 낮은 속도이고 테이블은 고강성, 낮은 진동, 이송축의 강성 및 힘 등이 필요하다.

 

난삭재의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해, 절삭성의 쾌삭화가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쾌삭강으로 유황쾌삭강, 납쾌삭강 및 탈산조정쾌삭강 등을 들 수 있다. 쾌삭강 중에는 강재에 포함된 비금속 개재물이 절삭중에 공구 날 끝에 달라붙어 보호막으로 작용하면서 공구수명을 연장해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부착물을 Belag라고 부르며, Ca탈산조정강, 편상 흑연주철, BN 첨가강 및 플라스틱 금형강 등이 이들 사례로 보고되고 있다. Belag의 형성은 강의 산소량, 절삭의 단속 또는 연속, 가공분위기, 절삭속도 등에 따라 변화 된다.

 

우리나라의 공작기계산업은 기업규모의 열세로 R&D 투자와 마케팅 능력의 열세로 차세대 공작기계 기술개발 여건이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핵심부품을 주요 경쟁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국제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기술 인프라 체제의 구축이 미흡하며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환경을 극복하는 방안은 경쟁 상대국에 비해 생산기술 및 조립 능력이 월등한 수준이므로 이 분야에 집중한 기술개발 노력에 열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구와 피삭재 간의 절삭이론 정립으로 고객에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의 개발도 같이 해야 되리라고 본다.

 

공작기계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계 자체의 우수성도 중요하지만, 기계공작은 소재, 공구, 기계, 환경 등이 서로 하모니를 이루면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절삭이론을 비롯한 각 요소 별 이론이 정립 안 되어 있는 것은 산연 연구기관들이 서로 협력 분담하여 체계적인 학술 이론을 정립하여 줌으로써 공작기계 산업계의 발전과 국제경쟁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저자
Kana Morishita, Takuya Ohba, Shigekazu Mori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82(3)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85~290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