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약물 접합체 기반 치료제의 새로운 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1975년 단클론항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항체는 본격적으로 치료 목적으로 응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항체의 치료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단사슬항체, F(ab') 및 F(ab')2 단편, 단사슬 가변부위 등 다중가, 이중 특이성/기능성을 가진 항체를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 항체와 저분자 항암화합물을 링커로 결합시킨 ADC(antibody-drug conjugate)는 기존 항체보다 치료 효능이 더욱 뛰어난 차세대 암치료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암 특이적인 항체와 항암제를 조합하여 정상세포를 죽이는 것을 막고 암세포만을 죽이도록 한 것이다. 항암제의 세포독성은 보편적인 항암제보다 100-1000배 강력하고 ADC의 치료범위는 좁은 편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2개 ADC가 품목 허가되었다.
○ 항체의약품의 2017년 세계시장 규모는 899억 달러로 전망되고 있다. 항체의약품의 유망기술의 하나로 새로이 부상하고 있는 ADC는 주로 항암제로 개발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기존에 독성이 강하고 치료범위가 좁은 약물들을 항체에 탑재하여 낮은 농도에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종 질환 및 항암 치료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50 여 종의 ADC가 임상개발 중에 있다.
○ 국내기업들도 항체의약품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해 주로 항체를 개량하거나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려 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신규 표적 발굴 및 신규 항체의약품 개발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ADC 분야에서는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과 ADC의 선택적 결합력을 높여 치료범위를 확대하려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다.
○ 세관(tubuline)-기반 ADC로 증대된 임상 경험과 DNA-표적 탑재물을 함유한 ADC로 새로이 획득된 임상결과는 성공적인 ADC 설계를 위해 필요로 하는 표적 요구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 리뷰의 저자들은 ADC의 임상 적용에 큰 장애인 좁은 치료범위를 넓히는 데 초점을 맞추는 한편 2종 ADC의 임상성공은 ADC를 이용한 암치료 연구에 용기를 불어넣었고 미래에 진보된 성과가 기대된다고 하였다.
- 저자
- Bart ECG de Goeij and John M Lamber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0()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23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