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서북 그리스 지중해 산림생태계의 바이오에너지용 바이오매스 평가

전문가 제언

 

전 세계의 열, 전력 및 수송 연료를 위한 바이오매스로부터의 바이오에너지 생산은 바이오매스가 고체, 가스 및 액체 제품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환공정이 가능해진 다음부터 증가되었다. 유럽의 에너지 정책이 재생에너지를 유럽-지중해 지역의 효율적인 스마트-그리드 정책에 대폭 통합하도록 되었다. 그래서 지중해 지역의 원시적인 산림과 세부로 나누어진 농업과 산림이 혼재된 바이오매스의 정량화와 품질향상이 필수불가결하게 되었다.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참나무 잡목림의 지속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참나무잡목림은 지중해의 중요한 경관 역할과 바이오매스생산을 보증한다. 이유는 벌목한 나무그루터기에서 새싹이 나오는 능력(resprouting)이 있기 때문이다. 정밀한 현장 시료채취와 각 나무 부위별 및 바이오매스 함량 간의 제원(dimensional) 분석 기법으로 바이오매스 총량을 예측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가슴 높이에서의 나무직경측정이 나무의 지상부분 총량을 예측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평가 방법으로 재생에너지 자원 연구자들이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가용자원을 평가, 관리 및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더욱이 전체 바이오매스 중의 각 부위의 비율과 수분함량을 이 연구에서 다루었다.

 

우리나라 산림의 입목축적이 증가되어 OECD평균(121m3/ha)을 상회하여 2010년에 126m3/ha가 되었고, 연간 산림 생장양은 2,700m3으로 국산 산림자원 사용량(490m3)5배 이상이다. 2014년 현재 우리나라 전체 산림축적은 9m3이며, 연간생장률 3%를 적용하면 연 2,700m3의 임목축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바이오에너지 이용은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RPS) 시행 후 발전소에서의 사용으로 국내 사용량이 20093,000, 201167,000, 2013552,000, 20141,086,000톤으로 급증되었으나, 임목축적에 비하면 아직도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간벌 나무나 벌목 후에 산에 벼려지는 나무 가지의 이용 등, 활용이 시급하다.

저자
Evangelos N. Manolis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1()
잡지명
Ecological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37~544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