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센서망의 기회적 라우팅 기법
- 전문가 제언
-
○ 수중 음향채널 특성은 수중센서 망운용을 제한하지만 지상 무선 애드 혹 망에 사용된 ‘기회적 라우팅(OR)기법’을 적용하여 망 성능을 향상한다. OR 프로토콜의 효과적인 설계를 위하여 노드 후보군 선택과정과 후보 조정과정을 도입하며 수중음향 통신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서로 다른 수중환경에서 최적운용이 가능하다.
○ 수중센서망은 제한된 전송범위를 갖는 여러 노드로 구성되며 직접 전송이 불가능한 노드사이는 기존 다중 애드 홉 망을 사용한다. 이때 종단 간 홉 수가 적을 경우 신뢰성이 향상되지만 홉 수가 많으면 성능은 급격히 떨어져 대규모 무선센서 망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OR은 이러한 수중 망의 패킷 전송 신뢰성을 향상하는 새로운 기법이다.
○ 북한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은 국가안보를 크게 위협하고 있다. 북한 미사일 탐지와 선제공격 대응 이전에 북한 잠수함의 실시간 탐지 및 추적은 SLBM 무력화를 위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수중 센서망의 정밀 탐지거리 확장이 우선되어야 하며 OR 프로토콜 도입으로 기존 또는 새로운 수중 센서망의 성능향상이 가능하므로 시급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최근 EU는 ‘SUNRISE 과제’를 수행하면서 수중센서 망 성능향상과 수중센서의 수명주기확장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도 자국의 해양지배 확장을 위하여 수중 채널의 효율적인 응용 연구와 수중통신망 확장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 국내는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과 관련 산학연에서 분산 수중관측 제어기술 과제를 중심으로 지상 기지국 망 개념의 차별화된 수중센서 망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이것은 수중 통신망과 다양한 수중 플랫폼들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여 정밀수중탐지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수중관련 산업발전과 국가안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Rodolfo W.L.Coutinho, Azzedine Boukerche, Luiz F.M.Vieira, Antonio A.F.Loureir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54(2)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0~48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