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현대 원자력에너지 개발을 위한 방사선화학

전문가 제언

방사선화학은 현대 원자력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핵과학 분야에서 제4세대 원자로 개발 같은 선구적 연구는 화학적 해법 없이는 추진 될 수 없다. 현 세대 및 미래 세대 원자로에서 방사선화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는 재료 및 부식 미치는 방사선 영향 관련분야 및 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과 핵연료 재처리 관련분야이다. 때문에 새로운 세대의 제3세대 플러스 및 제4세대 원자로는 새로운 가동조건과 새로운 유형의 냉각재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화학자에게 새로운 도전을 부여하고 있다.

 

논문에 소개된 최근의 주요 방사선화학분야로는 1) 혼합 방사선장 하에서 부식과 수명연장 등에 미치는 냉각재의 방사선분해 예측 및 억제방안, 2) 제4세대 원자로분야는 방사선-조사 화학 및 방사선 조사영향과 관련된 재료의 부식과 악티니드 관리, 3)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분야에서의 초기 퓨렉스(PUREX, Plutonium-URanium EXtraction) 공정의 대체공정 개발과 최적화, 4) 중·저준위 폐기물의 사전 농축기술과 수지의 처리/처분 기술, 5) 유리화된 방사성폐기물과 사용후핵연료의 지층저장 분야에서의 고 방사핵종 분별분리, 고정화 및 변환과 심층처분 분야가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핵연료 주기 악티니드 거동연구, 신기술 융합 첨단 방사선화학 기술을 개발 중이거나 일부 완료되어 활용 중에 있다. 이외에도 기초전력연구원의 발전소 물/증기 안정성 및 운영 기반기술 연구 등이, 과학기술원의 수화학 환경에서의 증기발생기 세관의 부식마모 연구 등이, 조선대의 방사선에 의한 케이블 열화 기초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미래원자력재료 고방사선 조사열화 연구와 더불어, 건식 재처리(재활용)기술인 파이로프로세싱 기술개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는 경주의 처분시설을 이용한 활용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 부지의 저장시설에 저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후핵연료의 저장관리 방안 수립을 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영구 처분시설의 조속한 설치와 관련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저자
Andrzej G.Chmielewski, Monika M.Szołuch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124()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35~240
분석자
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