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분비췌장 생체공학

전문가 제언

생체형틀에 췌도를 넣어 부착하되 췌도끼리 붙지 않고 근접하게 놓이게 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이 생체 형틀은 면역세포들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되 산소와 영양분들이 들어가고 노폐물은 져 나갈 수 있는 생체형틀을 만들어야 이안에 부착한 췌도의 생존율과 인슐린 분비작용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오래전에 캐나다 알바타 대학에서도 polymer를 이용한 비슷한 연구를 했으나 polymer의 부적절한 구멍크기와 생체 흡수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실패하였다.

 

서울 대학병원에서 돼지 췌도를 원숭이에 이식하였으나 쉽게 파괴되어 혈당조절능력이 짧게 유지되어 실패했다. 나노공학을 이용하면 보다 좋은 생체형틀을 만들 수 있다. 나노공학자들과 함께 연구해야 실현가능하다.

 

간에 이식할 췌도의 부유물 부피는 10ml이하로 해야 간의 혈관에서 색전 발생을 막고 간 문맥에 고혈압위험을 줄 수 있다. 외분비선 조직들은 췌도 이식조직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고 항원역할을 하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을 일으켜 이식한 췌도 조직을 파괴한다. 그러나 장간 막에 이식한 췌도의 순도는 30%로 낮지만 면역반응에 의한 췌도 파괴반응이 매우 낮다.

 

최근 캐나다에서 항 노화, 부동 기능 작용이 있는 단백질을 사용하여 췌도를 이식결과 놀라운 당뇨병치료효과를 보였다. 이 단백질과 생체형틀을 이용해 장간 막에 췌도를 이식하면 한번의 췌도이식으로 적어도 10년 이상 당뇨병 치료효과를 지속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서도 이들 연구를 이용해 췌도이식연구를 추진하기 바랍니다.

 

췌도이식의 큰 변수는 이식장소와 생체형틀의 기능이다. 생체형틀만이 면역거부반응, 혈당저절 능력, 췌도 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정립해야 한다. 이어서 생체형틀을 이용해 췌도를 장간막이 아닌 간, 췌장 끝 부분 capsule에 이식 해 생체형틀의 효능크기를 측정해야 한다.

저자
Dora M. Berman, R. Damaris Molano, Carmen Fotin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65()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50~1361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