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에서 음식폐기물: 추세, 최근 행태 그리고 핵심 도전과제

전문가 제언

일본 내 음식폐기물을 막거나 완화하기 위한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는 칼로리/단백질 공급과 섭취 간의 차이를 추정함에 의해서 음식폐기물의 추세를 평가한다. 일본 내 음식폐기물을 막고 그리고 경감시키기 위해, 19602012년 자료로 음식폐기물 추세를 분석했다. 음식폐기물에 관한 최근 보고서 및 공공발간자료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정책건의를 제시하고 있다.

 

지역 수준 및 국가 수준으로 보면, 유럽집행위원회는 2020년까지 음식폐기물 50%를 줄이는 목표를 세웠고, 2015년에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미국 농무부)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국 환경보호청)2030년까지 식량손실과 음식폐기물을 반으로 줄이려는 미국 내 목표를 처음으로 발표했다. 2015년에 체결된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개발목표)는 음식폐기물과 식량손실을 지속가능소비에 도달할 수 있는 중요한 도전 과제로 식별하고 있다.

 

일본은 1960도에서 1970년 중반까지 낮은 폐기물 수준이었으나 1970년 중반에서 1990년대까지는 증가하였으며 2001년 이후부터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2년에 식량공급과 섭취 간에 평균 칼로리와 단백질 손실은 각각 22%15%였다. 2011년에 식량공급사슬에서 총 음식폐기물 가운데 43%(16.34백만 톤)가 재활용되거나 감소하였다. 이 외의 21.52백만 톤 중에 가정에서 9.52백만 톤, 식품산업회사에서 4.24백만 톤, 저장 및 수송을 통하여 3.95백만 톤, 농업생산에서 3.81백만 톤이 재활용되고 감소되었다.

 

한국도 음식폐기물에 관한 법령을 강화하고, 국가적 목표를 증가시키고 건전한 국가지침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식량공급사슬을 망라하여 음식폐기물 법과 규제를 강화하고, 통합 도시고형폐기물관리 전략을 개발하며, 폐기물 분리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음식폐기물에 관한 자료축적, 측정방법 개발 등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저자
Chen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33()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57~564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