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 기화-PEMFC 발전

전문가 제언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바이오매스는 가장 가격이 저렴하다. 또 우리들이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바이오매스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사용형태를 보면 화목으로 연소하거나 보일러용 고체연료로 가공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알코올이나 디젤을 생산하는 공정은 다른 에너지 생산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경향으로 보고 있다.

 

바이오매스 자원은 많은데, 문제는 이들을 한데 모아서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공장까지의 운반과 모으는데 드는 비용이 많은 단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알코올도 중남미 같은 데는 사탕수수 등 비 섬유질 자원이 우리는 적은 점도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에는 바이오매스 자원에 관심 갖는 일과 연료전지와 결합 수소 원을 바이오매스에서 구하는 방책은 중요한 분야이다.

 

  이 글은 BG-PEMFC(Biomass gasification-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바이오매스의 가스화 효율을 최대로 올리고 생산된 합성가스 속에 수소의 함량을 최대화하는 여러 가지의 변수를 적용 적정치를 추출하였다. 흥미로운 부분은 이때 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바이오매스의 수분함량이 초기의 처리에만 영향을 줄뿐 가스화 효율에는 별로 영향이 없다는 가설을 이 연구에서 뒤집은 것이다.

 

결국 과학은 기존의 정설이 옳지 않으면 진실을 밝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PEMFC는 요즘 주로 자동차 탑재시스템으로 많이 연구되는데, 수소를 온보드 저장하는 기술이 핵심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논하는 BG-PEMFC는 원예작물에 열과 전기를 제공하는 등 농촌지역에 독립전원으로 유용하리라 여긴다.

 

 국내는 에기연이 타르개질과 저급연료의 가스화와 케너텍이 바이오 복합발전 특허가 있다. 대학은 다수 연구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경북대, 서울과기대, 부산대, 서울시립대가 각각 바이오매스가스화, 바이오매스경제파급효과, 석탄과 바이오매스 가스화, 2단 가스화기 연구 등이다.

저자
S.M. Beheshti, H. Ghassemi, R. Shahsavan-Markade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112()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95~1000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