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재료의 스폿 브레이징(Spot Brazing) 기술
- 전문가 제언
-
○ 브레이징은 용접과 달리 모재를 거의 용융시키지 않고 삽입금속을 용융시켜 접합부를 형성한다. 모재의 겹침부 간격사이에 삽입된 삽입금속이 가열과정에서 용융하여 모재의 표면을 적시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합부 간격사이로 유입하여 채워지며 계면 반응이 일어나고, 냉각과정에서 용융삽입금속이 응고되어 접합이 이루어진다.
○ 브레이징은 모재의 용융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용접에서와 같은 모재의 용융으로 인한 변형이나 잔류응력, 용접균열 등의 결함을 어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접합부가 얻어져 용접이 어려운 고융점의 재료, 이종재료의 접합이나 복잡한 형상, 박판구조, 소형부품의 접합에 이용되고 있다.
○ 스폿브레이징은 스폿용접과 같이 저항 발열을 이용하며 너깃의 형성으로 접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폿브레이징은 삽입금속이 존재하여 이 삽입금속의 용융과 젖음성 및 모재와의 계면 반응에 의해 너깃이 형성되는 것으로 모재의 용융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스폿용접보다더 우수한 접합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이종 금속의 접합에 적합한 특징을 갖는다.
○ 이 해설에서는 스폿브레이징의 특징에 대해 해설하고 스폿브레이징에 의한 이종금속 접합 예로써 냉간압연강판(SPCC)과 순 Al판재의 접합, Al 판재와 Cu 판재의 접합실험을 통해 이들 이종금속의 스폿브레이징이 유효함을 입증한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산업에서 차체제작이나 조선기자재 부품으로 열교환기 등의 제작에 유용한 자료로 생각된다.
○ 최근 브레이징 기술은 항공우주산업에서 내열성과 고정밀의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이나 액체로켓엔진에서 초내열합금 등의 복잡구조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어 고도의 첨단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브레이징 기술이 간과되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스폿 브레이징을 포함한 브레이징 기술의 활용과 기술개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S. MIYAZAW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64(6)
- 잡지명
- 溶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9~83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