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더 첩 신호를 활용한 고주파 스테가노그래피

전문가 제언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란 ‘감춰진 글’이란 의미로서 데이터 안에 비밀정보를 숨겨 제3자에게 전송하는 비밀은닉 통신기법이다. 이미지파일이나 음악파일에 기밀문서 파일을 숨긴 후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숨긴 파일을 복호하는 정보은닉 전송기술이다.

북한은 국내 민군 통신망 마비를 위해 필요시 사이버테러를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국내 간첩이나 포섭단체에게 지령을 하달하고 있으며 2011년 왕재산 간첩단 사건에서 처음으로 스테가노그래피 전송기법의 사용이 확인되어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북한의 스테가노그래피 비밀통신의 차단과 방어, 복호화는 국가안보와 전쟁승패를 좌우한다. 특히 자동화된 패턴에 의한 공격보다 우리군의 취약부분을 파악해 최적화 공격을 수행함으로서 아군의 피해가 가중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격의 신속탐지와 대응에 필요한 보안 정책, 운영인력 및 관련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전쟁으로 인한 인터넷망과 군통신망 두절시 아군의 기밀정보를 관련부서에 전달하기 위한 비상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고에서 제안한 레이더를 이용한 고주파 스테가노그래피 방식은 기존 군에서 가용중인 레이더에 적용 가능하므로 기밀자료 은닉전송을 위한 새로운 비상 통신방법으로 그 필요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국방과학연구소와 관련 산학연에서 스테가노그래피의 라이브러리 구축 과 복원기술 연구와 사이버 위협을 탐지, 방어하는 다양한 보안 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조만간 지능형 위협방어와 데이터 유출방지, 디지털 포렌식(forensic)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테가노그래피의 탐지와 차단기법의 조기개발은 기존 네트워크 제품과 연동되어 모바일 장치, 클라우드 응용 프로그램까지 확장됨으로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산업 기술 자료의 유출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저자
Zhiping Zhang, Michael J. Nowak, Michael Wicks, Zhiqiang W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54(6)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2~86
분석자
조*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