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괴사성 수막뇌염과 육아종성 수막뇌염의 병리학적 면역학적 양상
- 전문가 제언
-
○ 최근 국내 애견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09년도에 애견시 장 규모는 100만 가구에 5,000억원 수준이었으나 2015년에는 1,000만 가구에 1조 8천억원 규모로 증가하였고, 2016년도에는 2조 2,900억원 규모로 성장하였다. 향후 소득이 늘어날수록 애견 시장 규모도 블루 오션으로서 급부상해 2020년에는 6조원 규모로 예상되고 있다.
○ 애견 시장의 규모가 점차 증가 할수록 개에서 질병발생 확률도 증가 하기 마련이다. 애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은 세균성, 원충성, 기 생충성 질병, 곰팡이 감염성 질병과 바이러스성 질병이 있으나, 애견 을 키우는 일반인들이 개의 질병에 대한 전문지식의 부재로 인해 질 병 확산의 우려가 예측되므로, 애견가들에게 질병에 대한 전문가와의 상담의 기회를 적극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최근 연구 결과, 개의 괴사성, 육아종성수막뇌염의 원인으로 의심을 받아왔던 허피스, 아데노, 개파보바이러스는 원인체가 아님이 밝혀졌 고 유전적 소인과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일본과 스위 스에서 보론(Borna) 바이러스가 육아종성수막뇌염의 원인체로 밝혀졌 지만 괴사성수막뇌염의 원인체는 아님이 밝혀졌다.
○ 진단은 개의 품종, 품고, 임상증상, MRI, CSF 분석 시 특징적인 공 동형성이 있다.
○ 치료는 경련 감소와 뇌 내의 염증 치료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급 성 치료약물로는 mannitol, phenobarbital등이 있으며, 안전한 약물로 는 Zonisamide, levetiracetam, felbamate, 만성인 경우 prednisone, 면 역억제제 closporine, procarbazine, cytosine arabinoside, lefluno-mide, mycophenolate mofetil 이 있으며, 보조적 요법으로 전 해질 공급, 이차적인 세균 감염 예방, 감염에 노출되어 있는 생체 장 기의 기능과 구조를 회복시키고 유지시키는데 치료의 중점을 두어야 한다.
- 저자
- Kazuyuki Uchida, Eunsil Park, Masaya Tsuboi, James K. Chambers, Hiroyuki nakaya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213()
- 잡지명
- Veterinar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2~77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