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R4 리간드 면역보강제(adjuvant)의 과학적 진전
- 전문가 제언
-
○ TLR4는 여러 종류의 그람 음성균(Gram negative)에 감응하는 수용체로서 과거 LPS와 알루미늄 염이 리간드로 사용되었으나 몇 가지 리간드가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으며, 또한 다양한 기작에 의한 리간드를 개발 중에 있다.
○ 전 세계적으로 미국, 프랑스, 영국 등 선진 7개국이 백신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 중국 등이 후발 7개국이 뒤쫓고 있는 형편이다.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회사 및 시장 점유율은 2014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MSD (22.2%), 화이자(22.2%), 프랑스의 Sanofi (19.9%) 영국의 GSK (17.0%), 스위스의 Novartis (5.8%) 등이다.
○ 국내 백신 시장은 1,200억 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원료부터 생산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으며 대부분 외국산 백신 소재를 가져와 판매한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수익성을 낮추는 좋지 않은 실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백신의 국산화 비중을 높임으로써 수익성을 높이고 아울러 자체적으로 기술 축적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국내에서는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을 운영하면서 백신 자급률을 2017년 70%, 2020년 80%까지 올릴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녹십자를 비롯한 대기업이 백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여러 생물공학관련 벤처기업이 개발에 참여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 이중 TLR4 관련 리간드의 개발은 연세대학교가 참여하여 개발 중인 Rv2450, Rv1009가 있고, 세종대학교와 아이진이 참여한 CIA06 등이 있다.
○ TLR4 리간드의 개발과 관련하여 여러 세균성 질환에 대한 백신이 미개발 중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함께 백신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teven G Reed, Fan-Chi Hsu, Darrick Carter and Mark T Or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1()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5~90
- 분석자
- 고*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