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D와 웨어러블 입력장치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은 MCD(Multiple Control Device)를 웨어러블 입력장치(반지형, 밴드형)로 제어하는 기술이다. 안테나를 가진 NMC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IEEE 802.11 및 근접장 통신(NFC)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반지형 입력장치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가락 모션동작 제어를 탐지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웨어러블 기기 동작제어기술 분야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반지형 입력 다중제어장치 기술은 초소형화, 초절전화 기술발전과 함께 국내 관련 업계에서도 첨단 모바일 다중제어기술 우위를 비교·검토하여 기술선점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이 특허의 핵심은 근거리통신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비접촉식 동작인식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조만간 웨어러블 무선입력장치의 세계적인 추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업계에서도 3D 모션 탐지기술 개발과 플랫폼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글로벌 웨어러블 기기 시장(미국, 일본 등 세계시장조사기관 참조)에서의 기술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이 특허기술과 관련된 기업별로 센서/소재/통신/설계/제어/에너지 기술의 장점 및 단점, 실현시기 등을 잘 비교·파악하여 특화된 기술발전이 필요하다.
○ SA(Strategy Analytics)에 따르면 2015년 4분기 스마트워치의 출하량은 애플의 애플워치와 삼성전자 기어시리즈의 선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0% 이상 급성장한 810만대를 기록하였다. 반면 전통적인 시계 시장의 대표인 스위스 시계는 전년 동기 대비 -4.8%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워치 확산은 전통적인 시계시장의 수요를 빠르게 감소시켜가고 있다. 향후에는 이 특허기술과 같이 보다 더 사용자 중심 기능에 특화된 고부가가치를 지닌 스마트워치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가 단순히 스마트폰의 주변기술을 넘어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Sony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EP20163015955
- 잡지명
-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with a wearable input devi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4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