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질환 치료 및 약물개발을 위한 최신 기술: 폐조직공학기술과 lung-on-a-chip 기술의 활용

전문가 제언

○   질병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폐질환이 지목되고 있으며, 지난 수십 년간에 걸쳐서 폐질환은 계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연간 약 4천 명이상의 폐질환자들이 폐이식 수술로 치료되고 있지만 폐기증자의 한계 때문에 폐이식 수술에 의한 폐질환자의 치료는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 새로운 방법의 폐질환 치료기술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소개되고 있다. 이를 테면 폐조직공학기술과 폐칩(lung-on-a-chip)기술을 활용하는 치료수단이 폐질환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폐조직공학기술은 폐질환 본인의 세포를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폐조직을 형성시켜 활용하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의 문제점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폐이식 치료법의 대체 치료기술로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지만 임상적으로 실용화하기에는 아직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테면 세포의 배양에 필수적인 지지체(scaffold) 합성소재의 문제점, 배양세포조직의 유연성의 문제, 호흡생리의 지속성 부족, 대량배양 방법 미비 등의 문제점들에 대한 보완대책이 필요하며, 이 대책들은 폐조직공학기술의 미래 도전과제로 남아있다.

○   폐칩은 생체의 폐에서 일어나는 생리반응을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세전자기계 장치이다. 폐칩기술은 동물실험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 약물선발 및 독성시험에서 동물을 대체할 수 있는 미래의 폐 관련 연구의 핵심 도구로서 가치가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기기장치로는 복잡한 기작을 가진 폐질환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속시간이 짧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은 앞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폐조직공학기술과 폐칩기술을 서로 융합함으로써 폐질환의 획기적인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여러 선진국에서는 폐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인체장기칩에 대한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대학과 대형병원이 공동으로 인체장기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행정당국에서도 새로운 미래 도전연구 주제로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저자
Ali Doryab, Ghassem Amoabediny, Amir Salehi-Najafabad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4()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88~596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