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금 채광 수은의 건강 리스크 평가
- 전문가 제언
-
○ 수은(水銀, mercury)은 원소기호 Hg, 원자번호 80의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금속으로 무기 수은과 유기 수은이 있다. 수은은 지각에서의 존재비가 대략 68번째인 원소로, 약 0.05ppm(5x10-6%)의 비율로 존재하는데, 이는 은 존재비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양이다. 자연에서 보통 화합물 상태로 발견된다. 가장 흔한 수은 광석은 보통 진한 붉은색 분말로 발견되는 진사(HgS)로 주사 또는 단사라고도 불린다.
○ 수은이 인체에 누적될 경우 신경계통 등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중금속의 하나이다. 수은중독은 식욕부진, 두통, 전신권태, 손 떨림, 불안, 기타 정신이상 등이 주요 증상이다. 수은은 소량 섭취하면 일시적으로 피부가 팽팽해지는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생물 농축의 주범인 수은은 유기 수은의 한 종류인 메틸수은이다.
○ 수은은 온도계, 압력계, 형광등, 아말감에 사용되며, 각종 수은화합물은 살균제, 살충제, 건전지, 곰팡이 제거제, 방청 페인트, 안료 등의 재료로 쓰인다. 또 펄프나 종이, 아세트산, 염소,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의 제조공정에 이용되기도 한다. 예전에는 혼홍법 또는 아말감법이라 하여 금·은의 야금(冶金)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 수은 및 알킬수은, 그 외의 수은 화합물의 허용 한도를 1ℓ에 대하여 수은 0.005㎎, 알킬수은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FDA(미국식품의약품국) 기준에는 물고기에 포함된 수은을 0.5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수산용수 기준은 수산용수 중의 수은농도를 0.004ppm 이하로 되어 있다. 인간의 혈액 중의 수은의 위험 농도는 100㎖ 중 100㎍이다. 공기 중의 수은 농도는 0.1㎎/㎥이 작업 한도이다.
○ 우리나라는 최근 11개 금광산이 가행되고 있고 전국적으로 많은 금 광업권(730건)이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금광산을 대상으로 한 대기 수은농도를 측정한 사례는 없다. 향후 소규모 금채광지에 대하여 수은 사용여부와 대기로 수은이 방출되는 경우 적절한 수은 환기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고 대기 수은 농도를 수시로 측정하여 인체 건강에의 위해를 사전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Koyomi Nakazawa, Osamu Nagafuchi, Tomonori Kawakami, Takanobu Inoue, Kuriko Yokota, Yuka Serikawa, Basir Cyio, Rosana Elvinc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24()
- 잡지명
-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5~162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