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 스리랑카의 폐휴대폰 관리
- 전문가 제언
-
○ 폐 전기전자제품(WEEE)이란 전기전자 장비로 분류되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뜻한다. 폐기 단계에 있는 이들 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 파트 등이 WEEE에 포함된다. 전형적인 WEEE의 하나인 폐휴대폰은 다량 발생, 높은 회수 가치, 빠른 교체 주기 등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 평균 크기 휴대폰에서는 위해 금속 원소가 35∼40%를 차지한다. 위해 금속 원소 가운데 안티몬, 아연, 비소, 카드뮴, 니켈, 구리, 납, 베릴륨 등은 난분해 바이오축적 독극물(PBTs; Persistent and Bio accumulative Toxins)로 간주된다. PBTs는 암을 유발하고 생식계, 신경계 및 발달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 폐휴대폰 수집을 위해 개인 또는 단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 1) Drop-off 프로그램에서는 지속적 수집 센터, 소매점, 길거리 컨테이너, 또는 임시적 수집 행사 등을 운영한다; 2) Pick-up 프로그램에서는 폐 휴대폰을 집 또는 사무실에서 수집한다; 3) 원거리 수집에서는 사용자가 폐휴대폰을 우편으로 수집자에게 보낸다.
○ 폐휴대폰 관리와 관련하여,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가 도입되고 있다. EPR에서는 제품제조사(producer)의 책임을 제품 수명의 모든 단계(특히 하류 단계인 회수 및 최종 처분 단계)로 확장하고 있다. EPR로 인하여 휴대폰 생산자는 독성 물질이 적거나 없고 재활용성이 높은 특성을 갖는 디자인을 제조 단계에서부터 선택할 수 있다.
○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폐휴대폰 관리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2016년에 전주대학교에서 폐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 금속을 회수하는 플라즈마 토치 처리 기술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유가 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금속회수 기술들(예: 물리적 처리, 화학적 침출, 바이오침출)의 융합을 통해 폐휴대폰 내 독성 물질 배출을 저감시키고 회수 효율이 높은 융합 공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 저자
- Thavalingam V, Karunasena 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09()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43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